대구·경북은 지금 '최악의 총체적 위기상황'인 것으로 진단됐다.
위기의 가장 큰 책임은 정부·여당에 있는 것으로 꼽혔으나 그 극복방안으로는 정부·여당은 물론 지역 다수정당과 국회의원, 민선 자치단체장들과 지방의원, 공무원, 경제인을 비롯한 사회 지도층이 모두 함께 힘을 모아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는 매일신문이 창간 60주년을 맞아 지난달 12~30일 여론조사기관인 (주)리서치코리아에 의뢰해 대구·경북 5·31 지방선거 당선자 517명을 상대로 '지역 현실에 대한 인식과 전망'에 대해 전수 조사를 벌인 결과에서 나왔다.
대구·경북 단체장 및 지방의원들은 지역의 미래는 교육·물류·서비스도시보다는 '기업이 많은 산업도시(51.9%) 및 과학기술도시(18.6%)'로 나가야 하고, 그 가운데서도 섬유·패션(25.5%), 문화관광·전시(23.9%), 기계·메카트로닉스 산업(22.6%)보다는 전자·정보통신산업(69.4%)이 차세대를 이끌어야 할 것으로 평가했다.
단체장들은 우선 해결과제로 지역경제 회복(87.5%), 지역균형발전(34.4%) 등을 꼽았고, 지방의원들도 지역경제 회복(82.1%)과 함께 지역균형발전(45.6%)을 상대적으로 중요한 과제로 삼았다.
지역 최대 현안인 대구와 경북의 통합에 대해 단체장 및 지방의원들의 66%는 통합 필요성이 있다고 답했으나 가능성이 높다고 본 비율은 26%로 약간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바람직한 대구·경북 통합 방식으로는 '정책협의 수준의 협력'(16.4%)보다는 '상설기구를 통한 경제통합'(32.8%)이나 '완전한 행정통합'(47.9%)이 압도적이었고 그 중에서는 행정통합 방식이 경제통합 방식보다 더 많았다.
수도권 단체장들의 '대수도론'에 대해서는 대구·경북을 포함해 '13개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의 상호협력 강화'(41.0%)가 '영·호남 간 협력 강화'(11.1%), '대구·경북 통합'(21.7%), '영남권 통합협의체 구성'(21.7%) 등보다 더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내년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집권 가능성이 높다(79.4%)고 보고 있으며, 대선 후보 지지도에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단연 압도적이었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