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하루에 어느 정도 마시는 것이 좋을까.
정답은 '목마름을 느끼지 않을 정도'다. 물에 물탄것 같은 싱거운 답인가.
물과 가까워지는 여름철, 물 얼마나 마시고 어떻게 마셔야할까. 그 궁금증을 알아봤다.
◆물이 부족하면
우리 몸은 70%는 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많은 물이 약간 줄어든다고 해서 인체에 영향이 있을 것 같지는 않지만 실제 체내의 수분이 1~2%만 부족해도 인체는 많은 이상을 일으킨다. 신체의 수분 비중이 1~2% 정도 부족한 상태가 유지되면 변비, 비만, 피로, 노화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물은 칼로리도 없고 신진대사도 활발하게 해 준다. 그러므로 신장 기능에 이상이 없다면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비만 예방의 첩경이다. 이밖에 물이 부족하면 대변이 굳어져 변비의 원인이 되고 피로해소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또 물은 노화와도 관련이 깊다. 피부 노화란 피부에서 수분이 빠져나가는 것이므로 피부노화를 막으려면 충분한 수분이 유지되어야 한다.
◆ 얼마나 마셔야할까
일반적으로 사람의 하루 수분 소모량은 소변으로 배설되는 수분이 약 1.4ℓ, 소변 이외에 땀 등으로 배출되는 수분이 약 1ℓ로 총 2.4ℓ 정도다. 그러므로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수분도 2.4ℓ 정도다. 사람이 하루 음식으로 섭취하는 수분 양은 1~1.2ℓ정도 되므로 적어도 식사 이외에 1.5ℓ의 수분을 보충해줘야 한다. 따라서 통상 하루 8~10잔의 물을 의도적으로 마셔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섭취하는 수분의 양은 이보다 훨씬 적다. 지난 2001년의 국민 영양 조사 결과 남자는 하루 평균 945㎖, 여자는 하루 평균 766㎖의 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 1일 물 필요량의 절반 정도에 그치는 것이다.
◆ 잘 마시려면
물은 하루 종일 틈틈이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무조건 많이 마신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아침 공복시에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식후나 식사 중간보다는 식전 1~2시간 정도에 물을 마시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 식사 직전이나 식사 도중에 마시는 물은 위 속의 소화효소나 위산을 희석시켜 소화하는 데 지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물은 공복일 때,혹은 식사하기 30분 전에 마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 맛있게 마시려면
가장 맛있게 느껴지는 물의 온도는 16℃ 전후이고, 좀더 상쾌한 맛을 느끼려면 9~10℃를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보다 차면 혀의 감각을 마비시켜 물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한다. 따뜻한 물의 경우 70℃ 정도일 때가 맛있다. 가장 맛 없는 물의 온도는 35~45℃일 때다. 즉 물은 체온과 가까운 온도면 맛이 없다.
물을 마실 때는 가급적 천천히 마시는 것이 좋다. 보통 목이 마를 때 물을 '벌컥벌컥' 들이키기 일쑤인데,이는 심장과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옛날 목이 마른 선비에게 물에 가랑잎을 띄워 건네주던 아낙네의 배려는 같은 맥락이다.
물을 보관할때는 금속으로된 그릇에 담으면 유리나 사기 그릇에 담은 물에 비해 쉽게 변화되므로 금속에 담아두지 않도록한다.
◆ 음료수, 과일과 물
수분섭취를 많이 하겠다고 음료수를 찾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음료수는 수분섭취에 물 만큼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커피, 녹차, 우유, 요구르트, 탄산음료, 기능성 음료 등을 마시는 것은 물을 마시는 것과 다르다.
녹차나 커피는 이뇨작용이 강해 상당량의 수분을 배설시키므로 수분섭취용으로 적합지 않다. 이 밖에 음료수에 첨가되는 설탕, 카페인, 나트륨, 산성 성분 등 많은 첨가물들은 열량이 높아 비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오히려 많이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과일과 채소는 전체의 80~95%가 수분이지만 데치거나 끓인 후 소금과 장류로 양념한 상태로 먹는 경우가 많아 수분섭취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국물에는 소금과 아미노산 등 영양 성분이 많이 녹아 있어 역시 수분섭취에는 효과가 적다.
김순재 편집위원 sjkim@msnet.co.kr
◎이 시간에 물 한 잔!
◆ AM 07:00 기상 직후 물 한 잔
기상 직후 물을 한 잔 마시면 밤새 축적된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배설 기능이 강화되어 변비 예방이나 치료도 겸할 수 있다.
◆ AM 08:00 아침식사 전 물 한 잔
식사 전에 물을 한 잔 마시면 위장의 컨디션을 조절하며, 과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 AM 10:00 근무중 물 한 잔
사무실에 앉아 일을 하다 지치거나 피로해질 때 찬물 한 컵을 마시면 피로도 풀리고 흡연 욕구를 자제시키므로 흡연가들의 건강 예방에도 좋다.
◆ PM 12:00 점심식사 전 물 한 잔
점심식사 직전에 물을 한 잔 마시면 과식을 막아준다. 특히 외식을 많이 하는 직장인의 점심은 전반적으로 짜거나 매운데, 체내 염분 조절이 이루어진다.
◆ PM 03:00 공복에 물 한 잔
오후 3시경은 군것질 욕구가 생기거나 흡연 욕구가 강해지는 시간. 이때 물한잔이면 군것질 욕구도 사라지고 흡연 욕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PM 07:00 저녁식사전 물 한 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과식하게 되는 저녁식사 전 물을 마시면 과식을 하지 않도록 도와주고 체내 염분 조절도 이루어진다.
◆ PM 10:00 잠자리 전 물 한 잔
잠자기 전 미네랄 풍부한 물을 마시면 다음날 훨씬 가벼운 몸 상태를 느낄 수 있다.
◎ 물 건강 7계명
1. 하루에 반드시 7~8컵 이상을 공복에 마신다.
2. 가능한 한 냉장고에 넣어 10℃ 이하로 마신다.
3. 받아놓은 물은 밀폐해서 24시간 안에 마신다.
4. 미네랄이 함유된 물은 가능한 한 끓이지 말고 생수로 마신다.
5. 마시는 물은 알칼리성, 씻는 물은 약산성이 바람직하다.
6. 음주 후엔 반드시 2컵 이상의 찬물을 마신다.
7. 물은 천천히 마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