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족은 예로부터 개를 사랑하는 민족입니다. 특히 삽살개는 우리 조상들의 사랑을 받으며 영욕의 역사를 함께해 온 민족견(犬)입니다."
멸종위기에 놓인 삽살개 보존을 위해 사재를 털어 연구에 헌신, '삽살개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진 경북대 하지홍 교수가 7일(현지시간) 워싱턴을 방문했다.
하 교수의 이번 방문은 개를 좋아하기로 유명한 미국인들에게 천연기념물 368호로 지정된 민족견 삽살개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외국인들에게 개를 학대하는 한국인이라는 잘못된 이미지를 바로잡기 위한 것.
이를 위해 하 교수는 한국에서 어미 삽살개 한 마리(삼순이)와 새끼 두 마리(삼식이, 오순이)를 직접 데려오기도 했다. 하 교수는 이날 오후 주미대사관 홍보원에서 한 특강에서 "한국인 하면 개를 학대하는 민족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한민족이야말로 예로부터 개를 사랑해온 민족"이라면서 "조선시대 옥새 손잡이를 삽살개 모양으로 만들 정도였다."고 역설했다.
그는 삽살개의 특징으로 사람들에게 친화적이고, 총명해서 습득력이 뛰어나며 호기심이 많고 운동능력이 뛰어나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옛날부터 '귀신쫓는 개'로 알려진 삽살개가 다른 어느 동물보다도 '한민족에게 충실하고 한민족을 지키는 수호신의 상징'이었음을 강조한 뒤 "최근엔 삽살개 하면 '독도지킴이'를 떠올리게 됐다."고 말했다.
때문에 삽살개는 일제강점기 수난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고 한다.
하 교수는 "일제강점기 일본은 민족문화를 말살하려는 차원에서 삽살개 2만여 마리를 도살, 삽살개가 멸종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면서 "일제는 삽살개 가죽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군인용 장화와 모자를 만들기 위해 삽살개를 마구잡이로 잡아 죽였다."고 주장했다.
하 교수는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지난 1943년 2월 조선총독부 임업연구소의 고로쿠 다카기 박사가 쓴 삽살개 모피에 대한 연구 논문을 처음으로 언론에 공개했다. 특강에는 미국인 50명을 비롯해 100여 명이 참석, 성황을 이뤘다.
'스티브'라고 자신을 소개한 한 미국 소년은 삽살개의 행동을 유심히 살펴보고 직접 만져본 뒤 "삽살개가 참 귀엽고, (털이) 부드럽다."며 함께 사진을 찍는 등 애정을 표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