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흔 교수, 이산화탄소와 천연가스 교환 원리 규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흔(李琿·55) 교수팀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공동으로 해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Hydrate) 층에 이산화탄소나 배기가스를 직접 저장하고 동시에 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자연 현상적 맞교환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저명 과학저널인 미국 과학원 회보(PNAS) 이 날짜 온라인판을 통해 발표됐다.

2003년 '연료와 이산화탄소의 맞교환'이라는 제목의 논문이 사이언스지를 통해 소개돼 세계적인 관심을 모은 이 교수는 3년간의 추가 연구를 통해 그동안 막연히 개념으로만 남아있던 지구 온난화 가스의 대규모 해양 직접 저장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모든 구조의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층에 이 원리를 적용하면 얼음 형태의 퇴적층으로부터 천연가스 대부분을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율도 종전 64%에서 90% 이상으로 올렸다.

이 교수팀은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혼합 배기가스를 주입, 천연가스와 배기가스를 맞교환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 맞교환 원리에 따라 해저 천연가스는 지상으로 끌어올려 에너지로 사용하고 지상의 배기가스는 해저에 거의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