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흔(李琿·55) 교수팀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공동으로 해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Hydrate) 층에 이산화탄소나 배기가스를 직접 저장하고 동시에 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자연 현상적 맞교환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저명 과학저널인 미국 과학원 회보(PNAS) 이 날짜 온라인판을 통해 발표됐다.
2003년 '연료와 이산화탄소의 맞교환'이라는 제목의 논문이 사이언스지를 통해 소개돼 세계적인 관심을 모은 이 교수는 3년간의 추가 연구를 통해 그동안 막연히 개념으로만 남아있던 지구 온난화 가스의 대규모 해양 직접 저장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모든 구조의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층에 이 원리를 적용하면 얼음 형태의 퇴적층으로부터 천연가스 대부분을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율도 종전 64%에서 90% 이상으로 올렸다.
이 교수팀은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혼합 배기가스를 주입, 천연가스와 배기가스를 맞교환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 맞교환 원리에 따라 해저 천연가스는 지상으로 끌어올려 에너지로 사용하고 지상의 배기가스는 해저에 거의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