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건설 파업…공멸은 막아야

포항 건설노조 파업이 석 달째 접어들었다. 누가 먼저 손을 드나 보자는 듯 도무지 접점을 찾지 못하고 버티기로 일관하는 勞'使(노'사)에 당국은 구경꾼 노릇이나 하는 상황에서 시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노조는 지난 7월 포스코 본사를 점거하는 초유의 사태를 벌여 포항 경제를 最惡(최악)의 상황으로 몰아넣었다. 그러나 아무 얻은 것 없이 조합원 58명이 구속되고 한 사람이 시위 과정에서 숨지는 참담한 결과를 안았다. 엄청난 규모의 피해보상 요구도 기다리고 있다. 노조는 민주노총과 연대해서 투쟁을 지속하고 있지만 사용자 측과 포스코는 물론 시민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사용자 측은 지난달 12일 合意案(합의안)이 노사 합의안인 만큼 집행부가 거부한 합의안을 전체 노조원 찬반투표에 부쳐야 하고, 부결될 경우에 한해 재협상을 할 수 있다는 강경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포스코는 노조 파업으로 중단된 일부 공사를 결국 성남에 본사를 둔 외지 업체에 맡겼다. 파업이 더 이상 장기화된다면 포항제철소 34개 건설현장이 모두 외지 근로자들로 채워질 가능성도 없지 않은 것이다.

사용자인 전문건설협회는 공사 중단에 따른 심각한 資金難(자금난)으로 일부 회원사는 부도 위기에 몰리고 있다. 노조원들은 파업 이전 1인당 평균 월 200여 만원의 임금을 받았으나 파업 이후 두 달간 한 푼도 벌지 못했다.

추석은 다가오는데 노사 모두 깊은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다. 시민 경제도 말이 아니다. 누구 하나 마음 편한 사람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仲裁(중재)를 해야 할 당국은 지극히 무기력하고 그들만 편해 보일 정도다. 어느 한쪽이 항복하기를 기다리는 듯 수수방관하는 사이 전체 포항이 시들어 가고 있다.

무능하고 무성의한 정부 당국과 포항시에 기대할 것이 없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 노사가 대화해야 한다. 노조는 머리띠를 풀고 사용자 측의 특수한 입장을 이해하도록 노력하라. 사용자는 건설노조가 잘나가는 대기업'양복 입은 노조들과는 다른 취약한 입장을 헤아려라. 특히 포스코는 원칙은 지키되, 노사를 아우르는 조정력을 발휘하기 당부한다. 共滅(공멸)은 막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