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해밑 '울릉분지'에 태극기 휘날린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심해 무인잠수정 해미래, 로봇팔로 설치

한국과 일본이 지명 공인을 놓고 첨예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동해 독도 부근 바다 밑 '울릉분지'에 며칠전부터 작은 태극기가 휘날리기 시작했다.

1일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연구원 등에 따르면 국내 기술로 개발된 6천m급 심해 무인 잠수정 '해미래'는 지난달 28일 북위 36도40분-동경 130도30분 지점에서 수심 2천50m까지 잠수, 동판으로 제작된 가로 23㎝, 세로 13㎝ 크기의 태극기를 울릉분지 위에 설치하는데 성공했다.

해양과학조사선 '온누리'호에서 발진한 해미래는 수직 하강하기 시작한지 1시간반만에 이번 실험의 잠수 목표였던 수심 2천m를 넘어서 2개의 유압식 수중 로봇팔로 태극기 설치와 시료 채취 임무를 완수하고 심해 촬영까지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해미래는 지난 4월 23일부터 26일까지 같은 해역서 실시된 첫번째 실험에서는 내압 용기 누수, 추진기 모터 제어 장치 누수, 절연유 누유 등 각종 고장으로 불과 1천65m에서 멈춰 섰으나 두 번째 시도만에 2천m 잠수에 성공했다. 해양부와 해양연구원이 2001년 이후 총 2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개발한 이 잠수정은 1단계 실해역 실험에 성공함에따라 이달 중 서태평양 필리핀 부근 해역에서 6천m 심해 작업에 본격 도전한다.

울릉분지는 북위 36도52분~37도22분, 동경 130도~130도54분 사이에 위치한 해저분지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오래된 명칭이나 공식적으로는 해양지명위원회(위원장 해양조사원장)의 심의 및 의결을 거쳐 작년 12월7일에야 국내 고시됐다.

또 우리 정부는 현재 대양수심도(GEBCO)운영위원회 산하 해저지명소위원회를 통해 울릉분지의 국제 공인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형에 대한 일본식 지명 '쓰시마분지'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어 한국이 공식 명칭 변경을 요구할 경우 양국간 치열한 공방이 불가피한 상태다.

실제로 지난 4월 일본은 우리나라의 울릉분지 공인 추진 움직임 등을 구실로 독도 주변 수로조사 계획을 밝혀 두 나라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