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장단역 비무장지대 안에 방치되다시피했던 '철마'가 56년 만에 마침내 달렸다. 이제는 무게 105t의 육중한 고철덩이 신세로 전락해, 스스로의 엔진을 가동해 달린 것은 아니지만 어쨌건 분단 반세기 만에 이동을 했다.
화통만 남은 이 증기기관차(등록문화재 제78호)는 보존처리를 위해 20일 임진각에 마련된 보존처리장으로 옮겨졌다. 철마는 앞으로 1년 가량 포스코 기술진에 의한보존처리가 이뤄지게 된다. 포스코는 문화재청이 추진하는 '1문화재 1지킴이' 운동의 철마 후원기업이다.
문화재청이 주최한 이날 이송식은 국방부와 유엔사, 파주시, 포스코 관계자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크레인을 이용해 철마를 길이 20m짜리 대형트레일러에 옮겨 운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철마는 포스코가 미리 준비한 프레임과 디바이스라는 장치, 크레인에 의해 트레일러로 옮겨진 다음 느린 속도로 약 5㎞를 달려 임진각으로 안전하게 이송됐다.
한국전쟁 당시 이 기관차를 마지막으로 운전했던 전 기관사 한준기(80) 씨는 " 비무장지대에 50년이 넘도록 방치돼오다 문화재로 등록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해왔다"면서 "특히 이번 기회에 이 증기기관차가 영구보존처리된다니 감개무량하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분단의 상흔을 간직한 이 유물을 2004년 2월6일 등록문화재 제78호로 등재한 뒤 포스코 등과 함께 이에 대한 보존처리 대책을 마련했다.
문제의 철마는 원래 북한 소유였으나, 1950년 9·28 서울수복 뒤 연합군이 획득해 군수 물자를 실어 나르는 화물차로 이용했다. 이른바 '전리품'인 셈이다. 개성역을 떠나 한포역까지 올라갔다가 중공군에 밀려 장단역까지 내려왔으나 19 50년 12월31일 밤 10시10분 무렵 북한군에 이용될 것을 우려한 연합군에 의해 파괴된 채 지금까지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문화재 등록과 맞물려 2004년 철도청(현 철도공사)이 실물 조사를 벌인 결과 화차는 비록 겉은 많이 녹이 슬었으나 내부 주철 부문은 여전히 보존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드러났다.
포스코 측은 내년 1월께 철 전문가와 문화재 보존처리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기술 심포지엄을 개최해 의견을 수렴한 후 내년 3월 1년 간의 보존처리 작업에 들어간다. 보존처리를 마친 기관차는 2008년 3월 중으로 원래의 자리인 비무장 지대 안으로 다시 옮겨진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