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열린우리당도 잇단 '탈당 바람'

정병원 도당위원장 이어 김태일 시당위원장도 탈당

최근 정병원 열린우리당 경북도당위원장의 탈당에 이어 김태일 대구시당위원장이 14일 전당대회가 끝 난 뒤인 15일 탈당키로 하는 등 당내 탈당바람이 지역에도 휘몰아치고 있다.

대구시·경북도 위원장의 잇따른 탈당은 지역은 물론 중앙당에도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중앙당 조직을 담당하는 사무부총장을 맡고 있어, 현역 고위당직자의 첫 탈당을 기록하게 된다.

열린우리당은 이같은 탈당바람을 막고 당을 추슬러 대선에 대비하기 위해 14일 전국대의원대회 이후 시·도당 위원장의 선임을 임명제로 바꾸기로 했다. 이는 기존의 선출제로는 이른바 당내 제세력 간 갈등의 심화로 당력의 약화를 불렀으며 이같은 상황을 바꾸지 않고는 대선을 치르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와 관련, 대구시당 위원장은 박찬석 현 의원이, 경북도당위원장에 추병직 전 건설교통부장관이 각각 거론되고 있다.

김 위원장은 14일 "현재 열린우리당은 정치세력의 중심을 잡아주는 구심점은 물론 변화를 이뤄내려는 추진력도 남아 있지 않다."며 "새 희망을 찾기 위해 재야로 돌아가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탈당을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그는 탈당배경으로 ▷잡탕정당 허용과 ▷새로운 정치적 리더쉽 구축 실패 등 여권의 거듭된 정치적 패착을 들었다.

김 위원장은 "보수세력인 무소속 정몽준 의원과의 후보 단일화 등 무분별한 합종연횡으로 당의 색깔이 없어졌고, 당이 좌로 가면 보수층에, 우로 가면 진보층의 비난을 사는 등 스스로 찬 족쇄에 의해 어느 쪽으로도 움직일 수 없는 꼴이 돼 버렸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노무현 대통령에 대해서도 "가장 큰 정치적 실패는 새로운 리더쉽을 창출 못한 것이며 이는 '3김 시대' 이후 새로운 정치력 모델을 바라고 있던 지지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탈당의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대(14일) 이후로 탈당 선언시기를 미뤄왔고, 김근태 의장과 수시로 상의해 오면서 탈당 시기를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경훈기자 jghun316@msnet.co.kr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