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청이 "대중교통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취지에서 '기본계획'을 만드는 중이라고 했다. 대경연구원에 맡겨 이달 말까지 완성토록 했다는 그 계획의 밑그림이 어제 공개됐다. 올해를 시작 연도로 하고 2011년을 목표 연도로 한다는 것으로 봐 사실상의 '5개년 계획'으로 이해된다. 대구의 대중교통체제와 관련해 중장기 계획 수립'집행이 시도되는 것은 참으로 오랜만인 듯하다. 문희갑 초대 민선 광역시장 때 만들었던 관련 마스터플랜 이후로는 소식을 들은 바 없기 때문이다.
이번 일의 의미도 무엇보다 그 점에서 찾아져야 할 것 같다. 중장기적인 목표 설정과 단계별 행동 계획 없이 單件(단건) 위주의 임기응변 식 일 처리에 매달리다가는 행정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정책마저 갈지자걸음을 할 위험성이 높은 탓이다. 그 외에는 BRT(간선급행버스 시스템) 도입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과 비수익 노선에 대한 입찰제 실시 등도 눈길 가는 대목이다. 얼마 전 없앤 그 마을버스를 연상시키는 27인승 중형버스 도입안, 막차 운행을 1시간씩 연장하자는 서비스 개선안, 운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인프라 확충안 등등도 포함돼 있다.
그러나 뭔가 중요한 게 빠진 듯해 허전하다. 우리 형편상 대중교통 계획이라면 아직은 수송 분담률 높이기를 가장 중심 되는 목표로 삼아야 할 터인데 그게 선명하지 못한 것도 한 이유이다. 불과 5년 사이에 그 비중을 현재의 38.6%에서 50%로 높일 것이라고는 했지만 도시철도 3호선 개통만 바라볼 뿐 별다른 정책 수단이 있는 건 아닌 듯한 것이다. 기본계획 전체를 좀 더 손보는 게 좋겠다. 전국에서 가장 앞서 최첨단으로 만들고도 그 과실은 서울에 뺏겨버린 꼴이 되고 만 10여 년 전의 그 마스터플랜이 남긴 아쉬움까지 해소할 수 있도록 말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