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의 유력 대선주자였던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이 30일 불출마를 전격선언, 정치권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정 총장은 "정치는 국가의 미래와 방향을 제시하고 정치세력화 활동을 통해 지도자로서 자격을 인정받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그런 활동을 이끌어 본 적 없는 저는 정치지도자로 나설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의 불출마는 무엇보다 충청권 출신이란 점에서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국민중심당에 대해 범여권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운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셈이 됐다. 국중당이 충청권에서 지지기반을 확산하게 될 경우 대선에서 캐스팅보트 위상을 강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되는데, 심대평 당 대표가 이날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JP)와 만나 충청권 역할론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도 주목된다.
한나라당 경우 연말 대선의 변수로 꼽혀왔던 이 지역에서 여권 주자가 물러남으로써 지지세 확산에 유리해질 수 있다. 그러나 역으로 대선에 대한 낙관론으로 이어지게 된다면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간의 후보경쟁을 더욱 첨예화시킴으로써 당 분열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또 JP의 지원을 받기 위해 경쟁을 벌일 수 있다. 당 안팎에서 나돌고 있는 5월 위기설을 부추기게 되는 셈이다.
범여권에서는 통합의 연결고리로 삼았던 정 전 총장의 부재로 대선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불가피하게 되는 등 대선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
특히 호남권이란 확실한 지지기반을 가진 민주당의 입김이 통합 협상에서 더욱 세질 것이며 이는 열린우리당 등과의 갈등요인이 될 것이다.
또한 대선정국에서 열린우리당 및 탈당파의 입지가 좁아진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 청와대의 영향력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낳게 된다. 최근 친노(親盧) 세력이 '참여정부 평가포럼'이란 조직을 통해 세결집에 나서고 있는 것과도 연결될 수 있다.
청와대의 영향력 강화는 김대중 전 대통령 측이나 민주당 측과 마찰을 빚을 개연성도 있다. 노 대통령은 탈지역주의를 내세우며 범여권 대통합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해 왔기 때문이다.
물론 범여권 불안감은 통합에 대한 절박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을 망라하는 대통합이 어렵게 된다고 해도 범여권의 후보 단일화 가능성까지 배제할 수는 없는 것. 대선 정국의 향배가 갈수록 불투명해지고 있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