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레포츠 시대를 대비한 선진행정인가, 특정업체 봐주기인가.'
영덕군이 수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설치해 놓은 경비행기 활주로를 한 민간업체가 독점적으로 사용하다시피 해 '특혜시비'가 일고 있다.
특히 군이 올 들어 시책 사업으로 경비행기 면허 시험장 건설 공사를 추진하면서 기존의 이 활주로를 놔두고 인근의 다른 지역에 막대한 예산을 들여 새롭게 조성하면서 특혜시비 논쟁을 가열시키고 있다.
군은 지난 2004년 5월 3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병곡면 덕천리 백사장에 폭 12m, 길이 350여m의 활주로를 건설했다.
이 사업은 활주로가 백사장을 잠식한다는 주민들의 따가운 지적 속에 추진됐으며 주민설명회조차 제대로 열지 않은 채 강행, 특혜 논란이 제기됐었다.
군은 당시 '항공레포츠 붐 조성으로 관광객이 증가되면 지역 경제에 큰 도움이 된다.'며 이 사업을 강행했으나 기대와는 달리 현재 이 활주로는 특정업체 측이 독점 사용하다시피 하고 있으며 이용률은 극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는 활주로 옆 소나무 숲에 주기장과 사무실용의 컨테이너 박스를 갖다놓고 사용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 데도 군이 이 활주로를 놔두고 올 4월부터 총 사업비 25억 원을 들여 인근 하천에 활주로 길이 1천m, 폭 20m의 경비행기 면허시험장을 새롭게 설치하면서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다.
이를 두고 주민들은 "불과 2, 3km도 안 떨어진 지역에 두 개의 활주로를 건설하는 게 말이 되느냐."면서 "예산 낭비 및 특혜 행정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주민들은 "기존 활주로는 군 예산으로 만들어 민간업체가 독점하는 사실상 개인시설이나 다름없다."면서 "활주로가 해수욕장과 맞닿아 있는데도 이·착륙 과정에 군의 허가는커녕 통보조차 하지 않고 있어 해수욕객들의 안전도 위협을 받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군 측은 "덕천 활주로 사업은 '항공레포츠 붐'시대에 대비해 군이 의욕적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지금 평가하기는 좀 이르다."면서 "주기장 문제는 자동차에도 주차장이 필요하듯 비행기도 보관할 곳이 필요하지 않겠느냐. 특혜의혹은 없다."고 해명했다.
영덕·황이주기자 ijhwa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