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 정상회담 28∼30일 평양서 개최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28일부터 30일까지 2박 3일간 평양에서 개최된다고 8일 오전 남북이 동시 발표했다. 지난 2000년 6월 제1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지 만 7년 만이다.

정부는 이날 오전 10시 청와대 춘추관에서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 김만복 국정원장, 이재정 통일부 장관의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공식적으로 밝혔고, 북한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남북정상회담 개최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그러나 발표 시기가 오는 19일 한나라당 대통령후보 경선을 앞둔 시점이고, 개최 시기가 경선 직후여서 대선을 겨냥해 정치적으로 기획된 남북정상회담이란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남북정상회담은 정부가 지난달 초 김만복 국정원장과 김양건 북한 통일전선부장 간 고위급 접촉을 제안한 데 대해 북한이 지난달 29일 김 원장의 비공개 방북을 공식 초청, 김 원장이 대통령특사 자격으로 8월 2~3일, 4~5일 두 차례 방북해 협의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합의에 이르렀다.

북측은 김 원장의 1차 방북시 "8월 하순 평양에서 수뇌상봉을 개최하자."고 제의해 왔고, 노무현 대통령은 서울로 귀환한 김 원장의 보고를 받은 후 정상회담 개최 제안을 수용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김 원장은 4∼5일 재차 방북해 대통령 친서를 북측에 전달했다.

이에 따라 남북 양측은 5일 김 원장과 김양건 통전부장 명의로 '남북 양측은 8월 28∼30일 평양에서 제2차 정상회담을 개최한다'는 남북합의서에 서명했다.

백종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은 남북정상회담 개최 의의에 대해 "양 정상이 한반도 평화 정착 문제를 허심탄회하게 논의함으로써 군사적 신뢰구축 조치가 확대되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발판이 마련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이번 회담을 계기로 남북정상회담이 정례화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돼, 남북관계가 평화적·안정적으로 지속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회담에서 논의될 의제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로 북측과 협의중"이라며 다음주부터 차관급의 준비 접촉을 개시한다."고 말했다.

백종천 안보실장은 남북정상회담과 대선과의 연관성에 대해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자연스레 합의한 것으로 전혀 국내 정치와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