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병원이 '종이차트'가 없는 '디지털병원'으로 바뀌었다.
곽병원은 9월부터 도입하기 시작한 MRI, CT, X레이 등 의료영상을 필름없이 전송하는 시스템인 PACS와 컴퓨터처방시스템인 OCS와 의무기록을 전산화하는 시스템인 EMR 등을 최근 구축했다.
이들 시스템의 운영으로 이 병원은 환자의 대기시간이 크게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게 됐다.
즉 환자가 진료와 검사받는 모든 과정이 전산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의료진과 환자의 편의, 진료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 것.
특히 대구에선 계명대 동산병원에 이어 두번째로 도입한 EMR(전자의무기록)은 진료 중 발생한 환자의 모든 정보를 전산화함으로써 수기(手記)작업을 최소화해, 의료인이 환자의 기록에 접근하기 편리해 지고, 많은 양의 정보를 보관할 수 있게 됐다. 또 차트를 찾아 진료실로 가져가고, 의사가 이 차트를 검토할 때까지 드는 시간과 인력이 줄어 그만큼 환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됐다.
곽동협 곽병원 원장은 "디지털병원은 임상치료, 임상연구, 환자관리 측면에서 편리성과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어 병원 경영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환자들에게도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며 "디지털로 구축된 방대한 자료를 다른 종합병원과 공유할 수 있어 환자의 협진도 편리해졌다."고 했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임은정, 첫 출근 "한때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수괴…후배들 참담"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