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대구 남부정류장 건너편에서는 공중전화 철거공사가 한창이었다. 공중전화 업무를 맡고 있는 KT링커스는 이곳 4개 부스 중 2개를 없앴는데, 지나가는 시민들은 "공중전화 부스를 왜 없애느냐."며 "사용 빈도가 떨어지는 것은 맞지만 급한 일이 생기면 공중전화라도 있어야 한다."며 묻기도 했다. KT링커스 관계자는 "휴대전화 사용자가 크게 늘면서 공중전화 이용률이 급격히 떨어졌고, 운영적자가 누적돼 이용률이 낮은 공중전화는 철거할 수밖에 없다."며 "이 추세라면 얼마 지나지 않아 최소한의 공중전화만 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만성 적자에 허덕이는 공중전화 사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휴대전화에 밀려 공중전화 통화량이 급격히 줄어 운영 적자가 누적되고 있지만 공공성을 띤 사업이라 없앨 수도 없는 진퇴양난 상황이다.
KT의 자회사로 공중전화 사업을 맡고 있는 KT링커스에 따르면 올 들어서만 대구·경북에서 1천700여 대의 공중전화를 철거했다. 1998년 당시 대구·경북에는 2만 대가 넘는 공중전화가 있었지만 이달 현재 1만 대 정도로 줄어 10년 사이 반토막이 됐다. KT링커스 관계자는 "국민의 반은 1년에 단 한 번도 공중전화를 쓰지 않을 정도로 통화량이 급격히 줄었고, 이 때문에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위한 철거사업이 계속되고 있다."며 "한 달에 통화기록이 1, 2통도 안 되는 공중전화가 부지기수여서 올해 공중전화 운영 적자가 약 500억~800억 원에 이른다."고 하소연했다.
실제 KT링커스에 따르면 2001년 전국 공중전화 통화량이 35억 9천100만여 건이었지만 지난해 5억 7천만 건으로 급감했고, 공중전화 시설도 1998년 15만 대에서 매년 1만 대씩 줄어 지난해는 11만 대가 됐다. 반면 휴대전화는 1998년 683만 대에서 지난해 4천20만 대로 7배 정도 늘었다.
이 때문에 수익개선책의 하나로, 교통카드 이용, 문자메시지 발송, 화상전화, 인터넷까지 가능한 첨단화 공중전화를 계획 중이지만 이마저도 예산이 없어 만들더라도 보급이 어려운 형편이란 것. 회사가 적자 운영을 계속할 수 없어 투자를 기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공중전화는 공공성을 띠고 있지만 법적으로 공공시설물은 아니어서 부스 광고도 유치할 수 없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편이다.
최재영 KT링커스 영남본부 전략TF팀 과장은 "시설 노후화와 휴대전화 등으로 공중전화 시설 재배치 및 교체가 이뤄져야 하지만 10년 이상 계속된 적자로 신규 사업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며 "공중전화가 공공시설물로 지정만 되면 구정 홍보, 광고 유치 등을 통해 판로를 개척할 수도 있고 재원 확보도 할 수 있지만 아직 지정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서상현기자 ssa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