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불임부부들이 대리출산을 위해 인도로 몰려가고 있다.
인도 서부도시 아난드. 우유 산지로 유명한 이 도시는 지금 때아닌 '베이비붐'을 맞고 있다.
이 도시 거주 여성 50명이 현재 임신 중인데 뱃속 아기의 부모는 미국, 대만, 영국 등지의 불임부부들이다.
아난드에서는 지금까지 대리출산으로 약 40명의 아기가 태어났다.
인도 여성들이 대리모로 나선 이유는 큰 돈을 벌 수 있기 때문.
영국인 불임부부를 위해 임신 중인 수만 도디아(26)는 대리출산으로 받은 4천500달러로 집을 살 계획이다.
가정부로 일하면서 매달 고작 25달러를 받는 그녀에게 4천500달러는 15년간 뼈빠지게 일해야 벌 수 있는 거액이다.
카일라스 그헤왈라는 두 딸의 교육비를 벌기 위해 대리모로 나선 경우. 그녀는 "뱃속의 아기가 미국에서 더 나은 삶을 살 것이기 때문에 아기를 미국 부모에게 주는 게 슬프지 않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아난드 소재 카이발병원은 전 세계 불임부부와 현지 여성을 연결해 주고 대리모의 출산 전 과정은 물론 사후 상담까지 책임지고 있다.
불임부부들이 대리모 비용 등을 포함해 병원에 지불하는 돈은 1만달러도 되지 않는다.
인도 태생의 미국인 가구 수입업자 리투 소드히도 이 곳에서 아이를 얻었다.
그녀는 "설령 100만달러가 든다해도 아이가 우리에게 주는 기쁨은 우리가 지불한 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둘째 아이도 대리출산을 통해 가질 계획이다.
이 병원의 나이나 파텔 박사는 대리출산은 아기를 절실히 원하는 불임부부와 경제적 도움이 필요한 인도 여성에게 피차 좋은 일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도덕적, 윤리적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은데 서구의 불임부부들이 몇 푼 안 되는 돈으로 인도의 가난한 여성들을 착취하고 있다는 게 비판론자들의 입장이다.
인도는 2002년부터 상업적 대리출산을 허용하고 있지만 대리모에 대한 법적 규제장치가 부재해 대리모와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관련 법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