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 인구가 늘면서 스키장 안전사고 역시 급증하고 있다.
한국스키장경영협회에 따르면 국내 스키장 이용객은 2000~2001년 348만 2천여 명, 2002~2003년 474만 4천여 명, 2004~2005년 535만여 명, 2006~2007년 595만 8천여 명 등으로 6년 동안 1.7배나 늘었다.
안전사고 건수는 2002~2003년 7천264건, 2003~2004년 6천910건, 2004~2005년 1만 347건, 2005~2006년 9천400건, 2006~2007년 1만 1천882건으로 다소 들쭉날쭉한 증가세를 보였다.
안전사고의 종류는 손목과 팔이 27.4%로 가장 많았고, ▷발·무릎·다리 26.5% ▷머리·목·얼굴 22.5% ▷허리·어깨 20.3%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사고의 원인은 대부분 스키어들의 미숙으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2002~2007년까지 안전사고 총 4만 5천803건 가운데 99%인 4만 5천656건이 이용자 미숙이 원인이었으며, 시설물 결함(75건), 운영부실(72건) 등으로 발생한 사고는 매우 적었다. 사고 유형별로는 '본인이 넘어짐'이 51.4%, '사람끼리 충돌' 47.1%, '시설물 충돌' 1.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김교영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