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병인들이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지역 간병공동대책위원회가 지난해 10월 4일부터 31일까지 대구시내 병원 16곳에서 일하고 있는 간병인 58명을 대상으로 간병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 간병인 중 82.5%(47명)가 하루 3만 5천 원(12시간 기준)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시간 간병료는 79.6%(43명)가 7만 원을 받고 있었다. 이는 식대, 교통비 등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하루 8시간으로 환산하면 2만 3천336원으로 최저임금인 3만 160원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 월 평균 수입은 절반인 48.3%(28명)가 71만 원에서 100만 원 사이였고 51만 원~71만 원도 22.4%(13명)나 됐다.
반면 근무 시간은 턱없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주 6일 근무와 주 7일 근무가 각각 20.7%(12명), 29.3%(17명)로 응답자 중 절반이 주 6, 7일 간병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것. 대체로 24시간 상주 근무하는 경우와 12시간 2교대 근무를 하는 경우 주 6일 근무를 하고, 24시간 격일근무는 주 3.5일 근무로 나타났다. 주 근무일과 평균 월급이 다른 것은 일자리가 꾸준히 연결되지 못하기 때문으로 매월 근무일수가 일정하지 않아 근무 시간에 비해 임금이 높지 않은 것으로 풀이됐다.
한편 대구지역 공동대책위는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15일 오후 경북대병원에서 '지역 간병인의 간병현황과 전망을 위한 토론회'를 열기로 했다.
서창호 공동대책위 집행위원은 "간병인 대부분 월 수입이 100만 원 이내이며 그나마 식사비, 교통비, 간병업체 월 회비 등을 내고 나면 간병인 손에 돌아가는 임금은 얼마 되지 않는다."며 "노동법 상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는 간병인들에 대한 보호와 노동기본권 보장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