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깊으면 군살도 없어지는 걸까
삶을 속으로 다지면 꽃도 수수해지는 걸까
줄기와 잎이 저렇게 같은 빛깔이라면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는 묵상이 필요할까
물 밖으로 내민 몸 다시 몸속으로 드리워
제 마음속에 흐르는 물욕도 다 비추는
겸손한 몸짓이 꽃의 향기까지 지우네
---------------------------------------------------------
이 시의 전언을 무식하게 한마디로 요약하면 '단순한 것의 아름다움'쯤이 되려나. 왜 무식한가 하면, 의미의 풍요로움이 시의 정수인데 이를 요약한다는 건 만행에 가까운 폭력이기 때문이다. 하나 일언이폐지로 시 앞에 서 있고 싶을 때도 있다. 군살 없는 생각으로 세계를 만나고 싶을 때, 물욕과 허욕을 다 버리고 맨몸으로 자신을 들여다보고 싶을 때가 바로 그 순간이다.
고뇌하는 존재의 표상이 갈대란 건 널리 알려진 사실. 그것은 갈대만큼 겸허한 모습을 지닌 식물이 드물기 때문일 것이다. 최소한의 줄기와 잎, 꽃과 줄기의 수수한 빛깔. 그것은 무채색 옷을 입은 수행자가 아닐 것인가. 마음을 모으기 위해 합장을 하고, 물빛 거울에 자신을 비춰보는 묵상의 행위. 이는 곧 시인이 지향하고자 하는 삶의 소실점.
여기까지는 누구나 쉽게 따라갈 수 있겠으나, 갈대꽃에 향기가 없다는 사실을 시로 녹여낸 사람은 흔하지 않다.
장옥관(시인)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