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텍 조윤제 교수팀 암 유발 손상 유전자 치유 과정 단서 밝혀

인체 내에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손상된 유전자가 어떤 과정을 거쳐 치유되는지에 대한 단서가 포스텍 연구진에 의해 제시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암 종양이 생기고 난 뒤를 이를 절제해내는 수술단계 이전에 약물 등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대학 측은 "불치병 또는 난치병이라는 암의 악명을 덜어내는 의미를 지닌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텍 생명과학과 조윤제(44·사진) 교수 연구팀은 16일 암과 같은 종양을 억제하는 단백질 복합체로 알려진 'Mus81-Eme1'의 3차원 입체구조 규명과 분자생물학적 실험을 통해 이 단백질이 어떻게 이상 단백질을 인식, 치유해 나가는지를 명확히 밝히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조윤제 교수 연구팀은 포항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Mus81'과 'Eme1' 분자의 구조 규명을 통해 이상이 생긴 DNA의 구조가 Mus81의 활성부위 주변의 아미노산들에 의해 인식되며, 특히 기능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Eme1이 직접적으로 DNA와 결합하고 Mus81의 DNA 절단 기능을 보조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또한 분자생물학적 실험을 통해 비정상적인 형태의 DNA를 인식하고 정상 유전자로 치유해 나가는 과정을 명확히 규명했다. 비정상 세포를 정상세포로 돌려놓는 길을 밝혀냈다는 것이다. 조 교수는 "분자 수준에서의 DNA 손상 복구 메커니즘을 밝혀냄으로써 이를 응용하면 암 치료 연구에 큰 진전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