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대통령 "서울·평양 연락사무소 두자"

방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남한과 북한이 지속적으로 대화하기 위해 서울과 평양에 연락사무소와 같은 상설 대화 기구 설치를 제안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연락사무소 대표의 수준에 대해 "양측이 협의할 사안이긴 하지만 최고 책임자에게 말을 직접 전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WP는 미국이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정부 시절부터 한국 정부에 이 같은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으나 한국 대통령이 이를 공식 제안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남한의 과거 10년간의 정권과는 다른 새로운 정권과 접촉하고 조정하는 기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이며, 조정기간 동안 대화가 끊길 수 있고 서로에게 강경해질 수 있다"며 "그러나 과거 방식으로는 안 되기 때문에 북한에 처음으로 상설적인 대화를 제안한다"고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 배경을 설명했다.

북한에 식량 위기가 닥칠 것이라는 분석에 대해 이 대통령은 "본격적인 경제 협력 문제는 비핵화 진전에 연계되지만 북한 주민의 식량 위기는 인도적 지원 문제가 되기 때문에 본격적인 경제 협력과 구분돼야 한다"며 비핵화와 무관한 인도적인 식량 지원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와 관련 "대통령의 제안은 오늘 갑자기 나온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구상해 온 것"이라며 ▷비핵화 진전에 따른 단계적 지원 ▷경제적 타당성 ▷재정적 부담 능력 ▷국민적 합의 등 '경협 4원칙'도 이번 제안에 포함돼 있다"고 부연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도발적 언동에 대해 "새 정부를 파악하기 위한 시도이기도 했겠지만 총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전략이었다고 본다"면서 "우리 국민들은 동요도 없었고 선거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북한은 이를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남북관계와 6자회담의 우선 순위와 관련, "과거 정권은 남북관계를 6자회담보다 중요시했으나 새 정부는 한반도 핵 포기에 중점을 두고 6자회담과 보조를 맞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급작스레 붕괴될 경우 중국이 그 공간을 메울 수도 있다는 지적에 이 대통령은 "북한이 갑자기 붕괴할 것이라고 가정하지 않는다"며 "중국은 북한 등 이웃 나라와 영토 문제에 매우 조심스러운 정책을 쓰기 때문에 쉽게 외국 영토를 점령한다든가 하는 일은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낙관했다.

워싱턴에서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