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연대 비례대표 공천 의혹에 대한 검찰수사가 서청원 대표를 정조준하면서 친박 무소속 당선자들이 친박연대와 거리두기에 나서는 등 이상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친박 무소속들은 "단일대오를 형성, 복당문제에 공동대처한다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면서도 "검찰수사 결과 서 대표가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 올 경우, 새로운 선택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상기류는 친박연대 내부에서도 엿보인다. 비례대표 공천을 주도한 서대표와 홍사덕·박종근 최고위원 등 고위당직자들 사이에서도 입장차는 분명하다.
친박연대의 도덕성이 타격을 입게 될 경우, 복당문제도 추동력을 잃고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 공산이 크다. 원내교섭단체 구성문제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한나라당도 양자의 균열을 유도하고 있다. 한나라당 권영세 사무총장 등은 "친박 무소속 의원들에 대해서는 복당을 허용해야 한다"며 '선별복당론'을 제기하고 나선 것.
친박 무소속의 좌장격인 김무성 의원은 22일 "검찰수사결과 만에 하나 특별당비를 전용한 부분이 드러날 경우 난처해질 수밖에 없다"며 곤혹스러워했다. 이해봉 의원도 "교섭단체 구성과 관련, 양쪽에서 합의된 것은 없다"며 "개인적으로는 친박 무소속만이라도 복당을 하는 것이 박 전 대표를 위해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우선 입당 입장을 밝혔다. 이 의원은 다만 "아직 개원 협상에 한달 이상 여유가 있어 시간을 두고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이인기 의원은 "정당에서 흠결이 발견됐다면 당연히 제거해야 한다"며 비례대표 파문을 조기에 정리할 것을 촉구한 뒤 "교섭단체를 구성하려고 조급하게 판단할 필요가 없다. 정치는 항상 상황이 바뀌는 것 아니겠느냐"고 여운을 남겼다.
하지만 친박연대 박 최고위원은 "서 대표가 법적·도덕적 하자가 없다고 밝히고 있어 우리로서는 검찰수사를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친박연대에 쏠린 부정적인 여론에는 우려를 떨치지 못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與 "재판중지법 재개는 국힘 강요 때문"…장동혁 "닥쳐, 국민이 시킨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