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부터 대구의 동·북·수성·달서구와 달성군 등 5개 구·군청에서도 여권 발급 업무를 시작했다. 여권 발급은 국고로 들어가는 인지 수수료의 10%를 인건비, 운영비 등 보조금으로 받기 때문에 신청자를 유치하기 위한 기초자치단체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대구시와 구·군청에 따르면 중·서·남구를 제외한 대구의 5개 구·군청은 지난달까지 각각 종합민원실에 여권 창구를 설치하고 전담 직원을 배치한 뒤 시연회를 갖는 등 준비를 마쳤다. 이에 따라 여권 발급을 위해 지금까지 중구 동인동에 있는 대구시청까지 찾아와 오랫동안 대기해야 했던 시민들의 불편도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구·군청들은 여권 발급 업무가 새로운 수익원이 될 것으로 보고 신청자 유치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현재 여권 발급 때 단수 여권은 2만원, 10년짜리는 5만5천원의 인지 수수료를 받고 있는데 이 가운데 10%를 기초자치단체 보조금으로 지급하기 때문. 내년에는 지역 특성에 따라 최대 23%까지 늘어날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의 경우 지난해 여권 발급 숫자가 20만2천여건이었는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구청으로 옮겨갈 것으로 보고 있다"며 "구청별로 적어도 1억원 이상의 수익은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기초자치단체들의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수성구와 달서구는 새 여권을 직장 등 원하는 곳으로 배달해주는 택배 서비스(택배비 본인 부담)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한 구청 관계자는 "시민 편의뿐만 아니라 구청 수입을 위해 여권 업무 취급 사실을 적극 홍보하고 업무 시간을 연장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29일부터 여권 대리 신청과 유효기간 연장제도가 폐지돼 본인이 여권을 직접 신청해야 하며 여권 기간이 만료되면 신규로 발급받아야 한다.
김재경기자 kj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김어준 콘서트에 文·김민석 줄참석…비선실세냐" 野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