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6월3일, 한일회담을 반대하는 학생과 시민들의 시위가 절정을 이룬다. 국회의사당에서 청와대에 이르는 길은 수만명의 학생들과 경찰들로 뒤덮였다. 한일간 국교수립을 서둘렀던 것이 화근. 권좌에 오른 박정희 대통령이 첫 대규모 난관에 봉착한 것이다. 사태가 4·19를 방불케 하자 당시 박 대통령은 마침내 오후 8시를 기점으로 서울 전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4개 사단 병력을 투입해 시위를 무력 진압했다. 역사에 6·3사태로 기록된 대대적인 시위진압 사건.
박 정부는 같은 해 7월 29일 계엄을 해제할 때까지 모든 집회와 시위를 금지하고 대학 휴교와 언론·출판의 사전검열, 영장 없는 압수·체포 등의 조치를 취했다.
이 조치로 시위의 주동인물과 배후세력으로 지목된 학생과 정치인, 언론인 등 1천120명이 검거되고 348명이 구속됐다. 한일국교 수립을 추진한 박 정권은 6·3사태가 일어난 지 1년 만인 1965년 6월 22일 굴욕적인 한일협정을 조인한다.
이후 시위자들이 모여 '6·3 동지회'를 결성했다. 당시 시위 주동자었던 이명박 대통령도 이모임의 회장을 역임했다.
▶1786년 추사 김정희 출생 ▶1959년 싱가포르, 영연방 독립
정보관리부 이재근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