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건너 들여오는 원자재 가격이 폭등세를 나타내면서 지난달 수입물가가 10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15일 '6월중 수출입 물가 동향'을 발표, 수입물가 총지수가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49.0% 오르면서 지난 1998년 3월(49.0%) 이후 10년 3개월만에 최고 상승폭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원자재는 92.5%나 뛰면서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1980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원자재 가격 상승률은 올들어 1월 48.7%, 2월 49.4%, 3월 56.4%, 4월 58.5%, 5월 83.6% 등으로 계속 폭등세다.
중간재가격은 31.3%, 자본재는 16.4%, 소비재는 19.2%의 상승률을 보였다.
하지만 지난달에 비해서는 원자개 가격 급등세가 둔화되고 있다.
수입물가 총지수는 전달에 비해 2.7% 상승, 5월의 10.7%에 비해서는 낮아졌다. 원자재도 17.0%에서 6.1%로, 중간재는 7.5%에서 0.7%로 각각 둔화됐다. 자본재는 3.5%에서 -1.5%로, 소비재는 4.8%에서 -0.3%를 나타내면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원유가격 상승세가 둔화됐고 원/달러 환율이 조금 떨어지면서 수입물가의 전달 대비 상승폭이 다소 낮아진 것으로 한국은행은 분석했다.
원자재로는 철광석이 81.3%, 무연탄이 7.2%, 천연 인산칼슘이 6.7%의 비율로 각각 올랐으나 밀은 -12.5%, 냉장어류는 -5.1%, 과일은 -5.4% 등의 하락세를 각각 나타냈다.
중간재 가운데는 액화가스 19.7%, 나프타 9.7%, 프로필렌 17.1%, 형강 12.9%의 상승률을 보였지만 연괴는 -25.9%, 주석은 -8.3%, 동은 -2.3% 등의 하락세였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