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6개 대학서 실시한 입학사정관 전형이 내년부터 40개 대학 이상으로 확대된다. 성적이 낮더라도 특기와 잠재력을 갖출 경우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길이 넓어지는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40곳의 대학을 선정해 1억4천만~9억 원씩 모두 158억 원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미국식 입학사정관제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입학사정관제는 대학이 주체가 돼 스스로의 기준에 따라 학생을 선발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성적보다는 특기와 적성을 고려해 학생을 선발하기 때문에 다양성을 실현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하지만 대학은 먼저 공정성 확보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수능성적이나 학생부 등 객관적 지표가 아닌 입학사정관의 주관이 당락을 결정 지을 때 국민 정서상 공정성 논란은 피할 수 없다. 성적이 좋은 학생이 떨어지고 나쁜 학생을 합격시킬 경우 학생이나 학부모를 어떻게 설득하고 이해시킬 것인가가 이 제도 정착의 관건이다.
이 제도의 원조라 할 수 있는 미국은 유명대학일수록 입시사정 점수의 객관화를 통해 공정성과 객관성을 실현하고 있다. SAT와 학교성적 등 학문적 요소와 비학문적 요소를 적절히 배분하고 평가항목을 세분화한 후 각 부문별 점수를 종합해 학생을 선발하는 형태로 입학사정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MIT의 경우 개인신상정보 부분과 학업성취도 등 2부로 구성된 입학원서를 접수한 후 학업지수, 석차 등과 수상실적, 인성과 적성 등 세분화한 평가를 계량화해 합격 여부를 가린다.
최소 학력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대신 '잠재성 평가'라는 모호한 기준을 가진 우리나라의 첫 입학사정관 전형과는 차이가 있다. 공정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이 제도는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정착하기 어렵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李대통령 "박정희 산업화 큰 업적…비판 있지만 공적 누구나 인정" [영상]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취임 후 처음 대구 찾은 이재명 대통령, 핵심현안사업 지원 의지 강조(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