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에게 책을 읽어 주는 장소가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누워서, 앉아서, 목욕하면서, 침대에서, 유모차에서, 공원에서, 거리에서, 차 안에서, 도서관에서…, 언제 어디에서나 책을 읽어 줄 수 있다. 다만 생후 몇개월이냐에 따라 아기의 지각 능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책 읽어 주는 법에는 다소 차이를 둬야 한다.
△3개월 미만
아기가 목을 가눌 수 없기 때문에 품에 안고서 책을 보여주기가 힘들다. 아기가 엎드려 놀다가도 언제나 볼 수 있게 책을 펼쳐 두는 게 좋다.
△4~6개월
아기를 품에 안고 그림책을 보여 준다. 아기가 원하면 아기 스스로 책장을 넘기게 해 보는 것도 좋다.
△7~9개월
이 시기의 아기에게 책읽기란 대부분 사물의 이름을 알아가는 것이다. 친숙한 사물이 책 속에 나오면 아기는 반응을 보이게 마련이고, 이때 사물의 이름이나 사물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10~12개월
"아가, 여기 보자, 뭐가 있니"라고 아기의 관심을 유도해 본다. 반응을 기다리면 한마디씩 대답을 하는 아기도 있다. 소리를 흉내 내는 아기에게 "그래, 맞아"라든지 "잘하네"라는 칭찬을 잊지 말자
△13~18개월
책 속의 그림을 보고 이름 알아맞히기 놀이를 해 보자. 이해력이 부쩍 늘어 사물에 대한 설명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 그림을 보면서 생김새나 색깔, 울음소리 등의 여러 특징을 말해 줄 수 있다.
△18개월 이상
글자를 몰라도 책을 읽는다. 여러번 들은 이야기를 기억하고 그림을 보며 책을 읽는 것. 아기에게 책을 읽어달라고 해 보자. 아기도 즐거워한다. 이상준기자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