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이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90주년을 맞아 '범국민 역사자료 기증운동'을 25일부터 시작한 후 2명이 처음 역사자료를 기증했다. 이 중 대구의 한 화랑 대표가 항일운동가들의 친필 서찰을 기증해 눈길을 끌고 있다.
김항회(61) 대구화랑 대표는 구한말 유학자이면서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했던 김황(1896~1978) 등의 서찰 7점을 기증했다(사진). 모두 한문으로 쓰여졌고 개인 안부부터 독립운동 논의 등 내용이 다양하다. 자세한 내용은 번역 작업이 끝나야 알 수 있지만 당시 시대상과 사상 조류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김 대표는 "주인을 잃은 물건들이 제자리로 찾아간 것"이라며 "이런 사료가 후손들에게 널리 읽혀져 우리의 정체성이 회복돼야 한다""고 했다.
김 대표가 기증한 기록물 중에는 희귀자료가 적잖다. 특히 '1919년 파리 만국평화회의에 독립호소문을 보내자'는 결의를 모은 유림 137인의 연서가 눈길을 끈다. 손때 묻은 한지에는 137인의 이름과 함께 '곽종석(郭鍾錫·1864~1919·당시 연서를 주도한 유림대표)'이라는 이름이 선명했다.
김 대표가 서찰을 기증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특히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가 2006년 펴낸 '독립운동가 서한집'은 김 대표의 기증으로 가능했다. '서한집'의 모태가 된 자료는 영남 출신 독립운동가 141명의 친필 서한 146점이다. 김 대표는 자료 전부를 그해 독립기념관에 기증했다. '서한집'은 영남 출신 독립운동가들이 남긴 간찰과 엽서 및 편지 등 학계나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친필자료들을 대거 수록하고 있다.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홍선표 책임연구위원은 "기증문화의 초석을 깔았다고 할 만큼 꾸준히 자료를 기증해주신 분"이라며 "이번에 기증한 서찰도 가치를 매길 수 없을 만큼 귀중한 자료"라고 말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