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公約 같잖은 空約' 경주 재선거 정책대결 의지 있나

4·29 경주 국회의원 재선거에 출마한 7명의 후보자 공약이 대부분 비슷해 변별력이 떨어졌다. 또 제대로 검토하지 않았거나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공약들도 포함되는 등 정책 대결을 위한 후보자들의 준비가 대체로 부족해 보였다.

7명의 후보자들은 하나같이 한수원 본사 이전과 방폐장 유치 지원 사업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지역의 최대 현안이라는 점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지만 한수원 본사 이전 문제의 경우 '어디로 이전하겠다'는 주장만 있을 뿐, 반대 여론을 어떻게 설득해 나갈지에 대한 과정의 문제는 생략돼 있었다.

후보자들은 또 경주의 단골 공약인 역사 문화 도시로서의 경주 발전 문제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어떻게 세계적인 문화 수도로 가꿔 나갈지에 대한 고민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실현 가능성이 낮은 공약들도 적지 않았다. 정종복 한나라당 후보의 경우 민간기업 및 연구소를 200개 유치하겠다고 내걸었지만 문화도시 경주와 성격이 맞지 않는데다 대전 대덕단지도 연구소 숫자가 100여개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실현 가능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풀이다.

정수성 무소속 후보는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됐지만 공약집을 완성하지 못한 상태였다. 5대 핵심 공약을 정했지만 제목만 있는 A4용지 1장 분량이 전부였다. 공약 실현을 위한 세부실천 방안은 기대조차 하기 힘든 상태다.

이 밖에 "비료값 특별기금 조성"(최윤섭 무소속 후보) "전기요금 1가구당 1만원 감면"(이채관 자유선진당 후보) "국제교육전용지구 안강 지정"(이순자 무소속 후보) 공약 등은 기획재정부 등 해당 부처와 협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현실 가능성 여부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채종한 민주당 후보는 5대 공약이 경주시의 핵심 추진 사업과 같았고, 채수범 무소속 후보의 경우 '반민족 행위 진상규명 및 처벌법' 제정 등 경주와는 다소 거리가 먼 공약을 제시하기도 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