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가 광역경제권 선도사업 지원단장 선임과 지원단 소재지, 세부사업에 대해 '밥그릇'싸움을 하며 삐걱대고 있다.
공모중인 지원단장 경우 지식경제부는 시도의 합의추천을 요구했지만 양측은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다른 인물을 추천, 결국 29일 서류심사에서 모두 탈락했다. 경북도는 대구시 과학기술본부장 출신인 박광길(58) 대구대 교수를 추천한 반면, 대구시는 별도 조직을 만들 필요없이 관련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조직을 활용, 효율을 높여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대구테크노파크 장욱현 원장을 추천했다.
하지만 지경부는 지원단이 민간주도 법인인데다 2~3개 광역지자체가 참여하는 만큼 단일 지자체인 제주, 강원권을 제외하고는 기존 조직의 장은 겸직이 안된다는 방침을 정해둔 상태. 또 지원단이 선도산업 기획·선정, 세부 주관기관 평가·관리, 사업비 집행 등의 많은 일을 하는 것도 겸직불가 사유였다고 밝혀 대구시가 상황을 오판했다는 지적이다.
지원단 소재지도 지경부는 합의결정을 원하고 있지만 시도는 아직까지 대구시내나 경산시 등 자기행정 구역내를 고집하고 있다. 지원단은 설립예정인 광역발전위원회 사무국 소재지도 감안해야 해 합의가 안될 경우 지경부가 조정·결정해야 할 상황이다. .
대경권 선도산업인 IT융복합 의료기기와 실용로봇, 그린에너지의 태양광과 수소연료전지 등 세부사업에 대해서도 시와 도는 제몫챙기기에 나서면서 갈등을 빚고 있다.
현재 실용로봇과 의료기기는 경북대, 태양광은 영남대, 수소연료전지는 포스텍 교수가 실무책임자를 맡고 있지만 경북도는 "IT융복합 경우 대구가 로봇이나 의료기기 분야에서 기업기반이 약한데도 다 가져 가려 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도는 대구시가 이렇게 나올 경우 그린에너지 분야도 이에 상응하는 만큼 도가 사업우위를 가져가겠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실용로봇의 경우 대경권 평가결과가 마이너스(―) 로 나올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치고 있다. 반면 대구시는 선도사업이 기업중심의 사업이고 공모를 통해 결정하기 때문에 문제될 것 없다는 입장이다.
대구경북연구원 관계자는 "시도간 획일적으로 사업비율을 나누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기업기반이나 강점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세부사업을 펼쳐야 하는데 시도가 제몫챙기기만을 한다면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