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딘가에서 바람이 불어
보이는 모든 형체가 변할 때
둥지에서 고개를 한 번 살짝 들어 보이고는
나뭇잎이 나를 잎사귀라 생각할 때까지
가지가 나를 가지라 여길 때까지
침묵의 작은 부분이 될 때까지
팔십, 구십, 백 년을 꾸벅꾸벅 졸며 있고 싶습니다
몽골의 전통 악기 머린호르[馬頭琴]에는 몇 개의 죽음이 겹쳐져 있다. 우선 머린호르의 이유가 된 명마의 죽음이다. 그리고 초원의 무덤에 묻히는 자의 죽음과 그 죽음을 따라가는 새끼 낙타의 죽음. 초원의 무덤에는 새끼 낙타가 희생된다. 초원에서 무덤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어쩔 수 없이 무덤까지 새끼 낙타와 어미 낙타를 데리고 가서 새끼 낙타를 죽이고 이듬해 어미 낙타로 하여금 무덤을 찾게 한다. 새끼의 죽음을 기억하는 어미 낙타가 우는 곳, 그 울음은 머린호르의 떨리는 현 소리와 다르지 않다. 멀고 높고 넓은 그곳에서 자연에 합일한다는 것은 나무/나뭇잎이 나를 불러서 내가 잎사귀로 나무의 식구가 되는 것이다. 사람이 주어가 아니라 나무/자연이 앞장서는 곳이다. 몽골의 시인 롭상로르찌 을지터그스는 1972년 다르항 출신이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