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쇄신특위(위원장 원희룡)가 중도실용을 목표로 하는 쇄신안을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당 쇄신의 핵심인 조기 전당대회 개최 문제와 관련해선 당내 의견이 분분해 시기를 못박지 않았다.
쇄신위는 3일 국정·당·원내 운영과 공천제도 등 4개 분야에 걸친 쇄신안을 제시하면서 "고심 끝에 쇄신안을 내놓았다. 청와대·당 지도부와도 교감이 있었다"고 밝혔다.
쇄신위는 국정운영 쇄신을 위해 국무총리를 포함한 중폭 이상의 개각과 함께 청와대 참모진의 전면적인 인적 쇄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새출발을 위해선 새로운 인물과 체제가 필요하다는 논리로, 차기 총리로는 지역과 정파를 초월한 '국민 통합형'이 돼야 한다는 점도 명시했다.
원내 운영은 의원들의 자율권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강제적 당론을 금지하고 권고적 당론도 최소화하도록 당헌에 명시하는 한편 당론 결정은 반드시 의원총회에서 표결을 거치도록 했다.
공천 제도는 밀실 공천을 차단하고 상향식 공천을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총선이나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인사들이 국민참여선거인단 경선이나 여론조사 경선 중 하나를 선택해 공천 경합을 벌일 수 있도록 했다.
쇄신위는 또 조기전당대회를 제안했다. 조기전대를 통해 새로운 리더십을 창출하고 당력을 하나로 응집시키자는 취지이다. 하지만 시기에 대해서는 10월 재보선 이전과 내년 초 등 몇 가지 안이 혼재하고 있다는 이유로 명시하지 않았다. 계파 간 이해 관계가 첨예하게 얽혀 있는 상황에서 자칫 당의 화합을 해칠 수 있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쇄신위는 금명간 이 같은 내용의 쇄신안을 당 지도부와 청와대에 보고해 최종 확정지을 계획이다. 이들이 내놓은 쇄신안을 당 지도부와 청와대가 얼마나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