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법 개정, 지방도 단지유치 길 열어…이한구 의원

"충청도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저를 비난하는 글이 쇄도하고 있습니다. 공공의 적이 된 기분입니다. 하지만 누구보다 공정하게 했다는 점을 알아줬으면 좋겠습니다." 첨단의료복합단지 대구 유치의 수훈갑인 이한구 의원(수성갑)은 12일 어제오늘 심정을 토로했다.

이 의원이 의료단지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참여정부 말기인 한나라당 정책위의장 시절. 국회에 제출된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에 관한 제정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특정 지역 유치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곧바로 개정안을 제출했다. 입지 선정은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의료 인프라가 갖춰진 비수도권으로 하고, 참여정부 임기 말에 졸속으로 입지 선정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개정안의 주 내용이었다. 이 의원은 "개정안의 지난해 3월 국회 통과로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단지 유치 신청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아쉽고 답답할 때도 많았다. 정보가 늦고 전략이 없는 대구 때문이었다. "3월 정부가 의료기기와 신약개발 2가지로 분리하려고 했을 때 대구는 처음에 유치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보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원주와 오송에 의료단지를 분리 건설하려는 정부의 속내를 대구는 몰랐습니다." 이 의원이 적극 나서 분리의 문제점을 역설했고, 결국 복합으로 결정났다.

이 의원은 의료단지 유치는 시작에 불과하다고 했다. 그는 "인천이 의료단지를 만들고 있고, 대전도 독자적으로 의료단지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구가 의료단지를 유치했다고 저절로 경쟁력을 갖는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라며 "설비 투자 단계부터 속도를 내 하루빨리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의료단지는 세계 수준의 인력을 흡수하고 정주 여건도 만들어야 하는 만큼 대구시의 개방화·세계화가 불가피하다"며 "민간기업 유치를 위해 일부 지주들의 땅값 담합도 대구시에서 서둘러 제동을 걸어야 한다"고 했다.

"의료단지 유치에 별로 한 게 없다"는 이 의원은 "활발하게 뛴 조해녕 전 대구시장이 없었다면 유치는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고 공을 돌렸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