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캐나다 몬트리올 신경연구소의 펜필드(Penfield)에 의해 간질수술의 개념이 확립됐다. 1990년대부터는 컴퓨터의 발달에 따른 방대한 지속 뇌파 정보의 분석과 첨단 뇌영상 장비의 실용화로 간질의 원인과 그 유발 부위를 정확하게 밝혀낼 수 있게 됐다. 이뿐 아니라 간질환자의 진단과 수술 방법도 다양화돼 수술 결과에서 제2의 전성기라 할 정도로 간질 수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했다. 나아가 국내뿐 아니라 미국 등 유명 병원을 중심으로 한층 발달된 단계적인 치료 방침이 제시돼 이제 수술 치료가 난치성 간질환자의 치료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계명대 동산병원도 1992년 지역에서 처음으로 간질센터를 개설해 치료 노하우를 축적, 전국에서 환자들이 찾아올 정도로 명성을 얻고 있다.
▷앞서가는 의료 서비스
동산병원 간질센터는 전문적인 약물 치료를 시도한 뒤 약물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에 대해서는 정밀 검사를 통해 간질 발작을 일으키는 뇌 병변 부위가 확인되면 수술을 시행한다. 현재까지 16년 동안 800여명의 난치성 간질환자를 수술했는데 최근에는 세계적 수준의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국제학회에 보고하기도 했다.
▷우수한 의료진 및 협진 시스템
동산병원 간질센터는 대한간질학회 회장인 이상도 신경과 교수와 학회 부회장이자 난치성 간질환자 수술로 명성을 얻고 있는 손은익 신경외과 교수(간질센터장) 등 신경과, 신경외과를 중심으로 소아청소년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정신과, 임상심리검사실, 간호과 등의 전문가들과 긴밀한 협진 체계를 갖추고 있다. 실제 간질수술 여부 및 방법 결정을 위해서는 비디오-뇌파검사 등 다양한 검사와 검사 결과의 분석'평가를 통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협진이 중요하다.
▷첨단장비 및 수술 기법
동산병원 간질센터의 수술치료 방법은 수술 중에 국소마취에 의한 각성 상태에서 대뇌피질 뇌파검사와 뇌기능 지도화 등을 통한 간질 발생 부위 탐색 및 뇌 기능 검사를 하는 게 특징이다. 이에 수술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부작용도 적다. 또 최근에는 해상도가 뛰어난 3T-MRI, SPECT, MRS 및 PET 등의 첨단 영상 진단 장비와 신경항법 수술 장비를 도입, 더욱 정밀한 진단과 수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계명대 뇌연구소 및 의과학연구소 등과 협력해 간질의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한국간질환자의 임신등록사업 등 전국적인 임상연구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다양한 의료 봉사 활동
1995년부터 지금까지 '장미회'의 영세민 간질환자 무료 진료 및 상담에 참여하고 있고, 2005년부터는 사회단체들과 연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구간질재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 2007년에는 삼성복지재단에 공모한 '간질 장애인의 자립 역량 강화를 위한 재활교육 프로그램'이 우수 프로그램으로 선정되는 등 간질 장애인의 재활 프로그램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