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3월, 시마네현 의회 '다케시마(竹島)의 날' 조례 제정. 2008년 7월, 일본 정부의 독도영유권 주장 교과서 명기 방침 발표….
일본의 주기적인 도발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가 숙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수년간 일본이 제기하는 독도영유권 주장의 허구성을 입증하는데 매달려온 '영남대 독도연구소'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영남대 독도연구소(소장 김화경)는 '감정에 호소하는 임기응변식 대처로는 독도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 아래 2005년 5월 국내 대학 최초로 문을 연 독도전문연구소이다. 1996년 결성된 '독도학회'와 이듬해 설립된 사단법인 '독도연구보존협회', 그리고 시민단체인 '독도역사찾기운동본부' 등에 의해 외롭게 진행되던 독도연구가 비로소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틀을 갖추게 됐다. 지난해 2월에는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연구소'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향후 9년간 국비를 지원받아 '독도는 우리 땅'임을 입증하는 정책개발연구를 하게 된다.
이 연구소의 궁극적 목표는 '독도학'을 정립하는 것. 일본은 외무성을 중심으로 이론을 개발하고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움직여온 것에 반해 우리나라는 그동안 감정적이고 즉흥적으로 대응해 왔던 것을 반성하고 실천적 대안을 찾기 위해서다.
김화경(62·국어국문학과 교수) 소장은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이론연구가 뒷받침될 때 비로소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주장이 제3국에게도 설득력을 지닐 수 있을 것"이라며 "동북공정(東北工程)이라는 치밀한 전략 아래 고구려사 왜곡을 시도하고 있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일본도 이미 100년 동안 독도 편입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이에 맞서 우리도 진정한 의미의 '독도학' 연구를 시작할 때다.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이 가지는 허구성을 밝히고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라는 사실을 확실히 하기 위해 독도연구소를 거점으로 체계적인 연구와 전략적 홍보를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독도연구소는 크게 두 가지 분야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정책과제연구를 추진 중이다. '독도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와 '독도생태보전과 해양환경 및 자원관리방안연구'가 그것. 각 분야의 연구는 총 3단계로 나눠, 1단계 기초연구가 2008~10년, 2단계 심화연구는 2011~13년, 3단계 응용연구가 2014~16년까지 진행된다.
현재 독도연구소는 지난해부터 '영유권 확립을 위한 매뉴얼 개발'이라는 부제로 1단계 기초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독도연구소는 다(多)학문간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독도영유권 재확인, 국제사회를 설득할 수 있는 이론 개발, 국내외 독도 전문연구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한국의 독도주권에 대한 국제적 홍보 및 올바른 지식 전파, 독도에 대한 국가정책 개발방향 제시 등에 앞장서는 국내 연구거점이 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게 된다. 그 첫 사업으로 지난해에는 근대 100년간 한·일의 독도연구 및 정책동향 분석, 독도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례 및 판례 연구, 독도 생태보전과 해양환경 및 자원관리방안 연구 등을 중점 수행했다.
또 영남대 중앙도서관에 독도아카이브를 설치해 상설 전시회를 여는 한편 서울, 대구, 경주 등에서 순회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아울러 김 소장은 인터넷강의 '독도의 이해'를 개설해 독도학 정립을 위한 첫 발을 내디뎠다.
올해는 일제강점기의 한·일간 독도연구 및 정책동향 분석 등 정책과제연구를 하고 있다. 5월에는 '독도영유권과 국경문제에 관한 학제적 접근'이라는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열어 한국과 일본은 물론 미국과 영국, 캐나다 등지에서 온 세계 석학들이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시각에서 독도문제를 공론화하는 시도를 펼치기도 했다.
6월에는 지난 1년간 인류학, 국사학, 역사지리, 국제법, 정치학 등 각 분야의 연구진들이 독도문제에 대한 다학문적·국제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물을 책으로 엮어 냈다. 이 책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문제연구회가 2007년 3월에 발표한 '다케시마 문제에 관한 조사 연구 최종보고서'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조목조목 반박한 최초의 학문적 작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됐다. 그동안 한국의 독도연구가 일본의 자료와 주장을 도외시하고 있다는 일본의 비판에 정면 대응하기 위해 먼저 일본 자료와 연구 성과들을 수집하고 철저하게 분석·검토하는데서 출발해 그들의 주장이 제국주의적 영토팽창야욕에서 비롯됐다는 사실을 보다 객관적으로 입증해냈기 때문. 이에 독도연구소는 독도연구총서 3집을 영어판, 일본어판으로도 펴내 국제사회에 보급할 계획이다.
7월에는 안용복과 함께 울릉도와 독도의 해역을 사수한 '박어둔'을 재조명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박어둔과 같이 일본에 건너갔던 안용복을 장군이나 민간 외교가로 칭송하고 있는 반면 일본 측은 안용복을 범법자 또는 허풍을 떤 거짓말쟁이로 간주하는 등 그 평가가 극단적인 대립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독도연구소는 울릉도·독도의 수호 활동이 안용복 개인에 의해 이뤄진 것이 아니라 울산을 거점으로 박어둔 등이 중심이 되어 바다로 진출하려고 했던 집단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을 규명할 방침이다.
내년에는 '해방이후 한·일간 독도연구 및 정책동향 분석', '국제사법재판소에 계류 중인 국제영토분쟁의 사례 연구' 등의 정책과제 수행, 공무원 및 기업 연수 프로그램 개발, 국내외 연구인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중점 추진할 방침이다.
김 소장은 "반일감정에 호소하는 대처방식으로는 독도문제를 풀 수 없음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100년 이상 독도 편입 프로젝트를 추진해 온 일본에 맞서기 위해서는 우리도 '언론 독도학'이 아닌 진정한 의미의 '독도학'을 정립해야 한다"며 "영남대 독도연구소는 국민의 관심과 후원이 헛되지 않도록 독도정책개발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독도 주권을 공고히 하는 전략 및 전술의 생산기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