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사 정치' 전성 시대다.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외국을 방문하는 국회의원들이 봇물을 이루는 까닭이다. 특사 정치는 외교 효율을 넘어 당·청 소통의 계기를 마련하려는 이명박 정부의 새 시도로 읽힌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2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로 향했다. 대통령 특사 자격이다. 24일부터 유럽을 순방하며 해당국 정상과 최고 지도층에 이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고,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술 협력 등을 논의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하원의장과 만나 세계 금융 위기 및 기후 변화 공동 대처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이에 앞서 이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은 8~18일 남미 브라질·페루·볼리비아 3개국을 돌았다. 역시 대통령 특사 자격이었다. 지식경제부와 함께 자원 협력 외교길에 오른 그는 볼리비아 기업과 리튬광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처럼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외국을 방문한 대구경북 의원으로는 이병석(포항북), 조원진(대구 달서병) 의원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이 의원은 6월 제주에서 열린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에 앞서 베트남·라오스를 찾았다. 양국 정상에게 회의 참석을 독려하고, 양국 관계 발전을 담은 이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기 위해서였다.
엘베그도르지 몽골 대통령 취임식에 다녀 온 조 의원은 몽골과의 인연이 계기가 됐다. 조 의원은 엘베그도르지 대통령과 총리 시절부터 친분을 쌓았고 한·몽골 간 의원 외교에 힘써 왔다. 이 때문에 몽골 쪽에서 먼저 청와대에 "특사로 보내 달라"고 요구했다.
대구경북 의원들을 포함한 의원 특사는 이 정부 들어 봇물을 이루고 있다. 홍준표 전 원내대표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안상수 원내대표가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을, 진수희 여의도연구소장이 에콰도르와 콜롬비아를 각각 다녀오는 등 얼추 30여명의 여권 중진들이 특사로 활약했다.
이명박 정부의 이 같은 특사 정치는 일단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부와 해당 특사 의원 모두에게 윈-윈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사로 다녀온 의원들은 이 대통령을 직접 대면하고 보고할 때가 많다. 은퇴 원로와 외교관 일색이었던 과거와 달리 현직 의원이 특사를 맡으면서 당·청 소통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친박계 의원들을 특사단에 대거 포함키거나 야당 의원들에게도 특사를 제의해 당 계파 및 여·야 화합을 꾀한다는 복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