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내 초등학교 5'6학년생에게 가르치는 독도 교과서가 오류투성이라고 한다. 국회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외교통상부가 경북도교육청에 수정 또는 삭제를 요청한 부분이 15곳이나 된다는 것이다. 교과서 내용이 틀렸다는 점도 문제지만, 우리의 독도 수호 노력이 이 정도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어이가 없다.
독도 교과서는 1882년 왜구가 울릉도에서 노략질한 것으로 기술했으나 실제로는 벌목을 했고, 독도 이름이 처음 사용된 연대를 1906년으로 표기했지만 1904년이 맞다는 것이다. 태종실록에 나오는 '우산도'를 언급한 내용에 대해서도 사실관계가 모호하다고 한다.
독도 교과서는 경북도교육청이 '우리 땅 독도'를 올바르게 가르치기 위해 올해 처음 배포한 것이다. 지난해 8월 독도 교과서 개발에 착수, 올해 3월 배포할 때까지 시간적으로 충실한 내용을 담기엔 부족했지만 서둘렀다는 인상이 짙다. 정확한 사실관계가 생명인 교과서의 기본을 등한시한 것이다. 학생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7만 부를 배포해 연간 10시간 이상 수업을 하면서 아직까지 틀린 교과서를 그대로 쓰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도 교육청은 올 4월 외교통상부로부터 수정 요청을 받고도 지금까지 심의위원회만 열고 있었다니 안이한 대응이 아닐 수 없다.
사실 도교육청 탓만 할 게 아니다. 이번 사건은 우리 정부와 자치단체, 교육청 등이 수없이 독도 대책을 내놓았다가 숱한 시행착오와 오류 등을 범해온 과거의 연장선상에 있다. 이런 부실이 자기 땅도 아니면서 주도면밀한 논리를 내세우는 일본에 역공을 펴는 빌미를 제공하곤 했다. 독도 문제만큼은 한건주의나 즉흥적 정책의 대상으로 삼지 말아야 한다는 교훈을 새겨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