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ve Korean cultural assets-Ganggangsulae, Namsadangnori, Choyongmu, Youngsanjae, Jejuchilmurygut-were designated as UNESCO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Assets of Humanit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nounced that the five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s were registerd at the UNESCO Cultural Assets Committee held in Abu Dhabi, UAE on September 30.
Along with Korea's three other intangible cultural assets, Jongmyojaere & Jongmyojaere Ak(2001), Pansori(2003), Gangeungdanoje(2005), Korea now has eight total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Assets of Humanity.
Ganggangsulae, the eighteenth most important cultural asset, is the art of singing, dancing, and music which is performed on Lunar New Year's Day, the Year's First Full Moon, and Chuseok. Namsadangnori, the third most important cultural asset, is a folk dance with traditional percussion music. These performance groups roamed the countrysid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Yangsanjae, the fiftieth most important cultural asset, is a ritual for going to Nirvana after death in the Buddhist faith. Jujuchilmurygut, the seventy-first asset, is a rite for local spiritual guardians performed by woman divers in Geonip-dong, Jeju. Lastly, Choyounmu is a dance with masks, and costumes. It is unique from other court dances due to its use of masks.
UNESCO has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Assets of Humanity since 2001. There are only ninety assets from seventy countries because until 2005 the program limited the number of applications to one per country. After the Convention for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UNESCO allowed unlimited applications.
l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of Humanity : 세계무형유산
l traditional percussion music : 풍물놀이
l Joseon Dynasty period : 조선왕조 시대
l Convention for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 무형유산 보호협약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처용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등 우리 무형문화재 5건이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등재됐다.
문화재청은 30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강강술래 등 5건이 세계무형유산 목록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한국은 이미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년), 판소리(2003년), 강릉단오제(2005년) 등 3건이 등재돼 있어 모두 8건의 세계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이번에 세계무형유산이 된 강강술래(중요무형문화재 제18호)는 설, 대보름, 추석 등에 행해진 노래, 무용, 음악이 삼위일체로 어우러진 종합예술이다. 남사당놀이(중요무형문화재 제3호)는 조선후기 남사당패가 농·어촌을 돌며 주로 서민층을 대상으로 했던 풍물놀이며 영산재(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는 49재의 한 형태로 영혼이 불교를 믿고 의지함으로써 극락왕생하게 하는 의식이다. 제주칠머리당영등굿(중요무형문화재 제71호)은 제주시 건입동에 있는 신당인 칠머리당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하는 굿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해녀가 하는 굿이다. 처용무(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는 궁중 무용 가운데 유일하게 사람 형상의 가면을 쓰고 추는 춤으로 가면과 의상, 음악, 춤이 어우러진 무용예술이다.
유네스코는 2001년부터 격년제로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프로그램을 실시해 국가별로 구전 및 무형유산 등재신청을 받아 지정해왔다. 이 프로그램은 국가당 신청건수를 1건으로 제한해 2005년까지 구전 및 무형유산으로 등재된 문화유산은 70개국 90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유네스코는 2006년 무형유산보호협약이 발효되면서 각국별 신청 건수를 제한하지 않고, 신청된 무형유산은 대부분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해주는 쪽으로 심사기준을 바꾼 '대표 목록' 제도를 도입했다. 올해는 새 프로그램이 시행된 첫해로 22개국이 무형유산 76건을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 올렸고, 이 가운데 한국 무형유산 5건도 세계무형유산으로 인정받게 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