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시는 보행권 확보 위해 적극 나서라

대구가 자동차 중심의 교통 정책을 고수하면서 시민들의 보행권을 고려하지 않은 도시로 전락하고 있다고 한다. 본지가 연재한 '대구, 걷고 싶은 도시 만들자'에 따르면 서울, 부산 등 타 도시들은 보행권 확보를 위해 다각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대구는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보행권 확보가 시대적인 추세임을 감안할 때 대구시가 제대로 된 마스터플랜 하나 갖고 있지 않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대구에는 '인도 없는 도로'가 많지만 정확한 실태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대구시가 20m 이하 도로는 구청 관할이라며 떠넘기고 전수조사 한 번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보행 약자를 외면하는 육교 문제도 심각하다. 보행 기능을 상실한 육교를 계속 방치하면서 이를 대신할 횡단보도 설치는 꺼리고 있다는 것이다.

대구시 정책 실패의 대표적인 사례가 횡단보도다. 한일극장 앞 횡단보도는 상인들의 반대에 밀려 설치 여부를 놓고 무려 4년간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였고 2005년에는 반월당네거리, 두류네거리, 봉산육거리의 횡단보도를 없애는 자충수까지 뒀다.

대구시는 현재 공사 중인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대구역네거리~반월당네거리)를 보행권의 중심 정책으로 앞세우고 있다. 잘된 정책이긴 하지만 인도, 육교, 횡단보도 등의 보행권 침해가 심각한 상황이라는 점에 미뤄 그것 하나론 부족하다. 그나마 이 사업도 이전부터 계획되고 추진돼온 것이다. 현재 대구시정은 보행권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지 않나 하는 의심을 갖게 한다. 대구시는 보행권 확보를 중심 정책으로 삼고 시민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걸을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를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