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가을 해발 1천m가 넘는 고산준령. 된서리가 내리는 무렵 찬바람을 견디며 바위틈에서 꼿꼿이 피어있는 꽃을 만나면 가을이 더 반갑다. 가을날 인적이 드문 곳에서 만나는 꽃이라면 국화류일 가능성이 높다. 이렇듯 '들녘에 외로이 피어난 꽃'은 흔히 우리가 보는 산국(山菊), 들국화를 지칭하기보다 구절초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구절초는 구월에 잘라서 말리면 약효가 더 좋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약이름으로는 선모초(仙母草)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예부터 딸을 출가시킨 부모들은 가을이 되면 들녘 언덕에 피어나는 구절초를 꽃과 잎이 달린 채 잘라 엮어서 처마 끝 그늘에 매달아 말렸다. 구절초를 솥에 오랫동안 달이면 엿처럼 되는데 이것을 구절초고(九折草膏)라 하고 보혈강장의 으뜸으로 쳤다. 행여 시집간 딸이 친정에 오면 말린 구절초를 가마솥에 넣고 푹 고아서 그 즙액을 먹여서 보내는 것을 큰 선물로 여겼던 것이다.
구절초 잎은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길이 2~3.5㎝로 앞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담녹색이며 털은 거의 없고 선점이 있다. 꽃은 9~10월에 피며 가지 끝에 지름 5~7㎝의 흰색 또는 연보라색 두화가 1개씩 달린다. 혀 모양의 꽃잎인 설상화로 가운데가 노란 통꽃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는 구절초, 백두산 고산지에 나는 바위구절초, 대관령 등 높은 산에 자라는 산구절초와 포천 지방에 나는 포천구절초, 그리고 관상용으로 심는 낙동구절초 등이 있다.
선모초라는 이름과 같이 달인 즙은 여인들의 몸을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에 옛날에는 최고의 약으로 취급했다. 또 부인병(婦人病)에 효과가 있으며 건위, 보익, 신경통, 정혈, 식욕촉진, 중풍, 보온 등의 약재로 많이 쓴다.
김영곤 야생화연구가
감수 김태정 한국야생화연구소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