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를 '첨단교육과학도시'로 조성하려는 정부의 방침에 영호남 등 전국이 반발하고 있지만 정부의 '묻지마'식 세종시 플랜은 멈추지 않고 있다. 특히 정부가 세종시를 의료과학시티로 건설하기 위해 미국 투자회사에 세종시 입주를 압박한 것으로 드러나자 대구경북 주민들은 "그렇게 할 거면 대구와 오송을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왜 선정했느냐"며 비난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지난 2월 미국 투자회사인 CCI(C Change Investment) 및 한국내 파트너인 BMC와 세종시에 790만㎡(240만평) 규모의 '의료과학그린시티'를 조성하기로 하고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계획대로 조성될 경우 대구경북의료단지(101만㎡)의 8배 규모다.
대구경북은 이에 대해 정부가 앞으로는 대구·오송의료단지를 선정해놓고 뒤로는 세종시에 대규모 첨단의료단지 조성을 추진한 것은 대구·오송의료단지를 들러리로 세운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대구시 한 관계자는 "정부가 기존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세종시의 기능을 수정하기 위해 국책사업인 첨단의료복합단지 건설 사업까지 '빈 껍데기'로 만들면 정부의 신뢰성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충청권의 반발도 거세다. 정우택 충북지사는 19일 기자회견을 자청, "역사적 사업인 세종시가 지방의 발전 의지를 물거품으로 만드는 기업중심도시, 경제도시로 변질하는 것에 반대한다"며 "행정도시를 원안대로 건설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지방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정부는 '세종시 혜택'을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권태신 국무총리실장은 19일 서울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제3차 세종시 정부지원협의회에서 "세종시에 부여할 수 있는 세제 및 재정 등 인센티브와 관련해 정부는 균형감각을 갖고 적정한 수준을 찾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조기에 도시발전의 핵심을 설정하고 도시의 자생적 성장을 촉진한다는 측면에서 어느 정도 인센티브는 불가피하지만 수준이 과도해 과유불급(過猶不及)에 이르는 것은 여타 지역과 형평 문제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이재훈 영남대 교수(경영학부)는 "국토 균형발전에 어긋남은 물론 지방을 몰살시키려는 정책에 대해 이제는 가만히 있어서는 안 된다. 영호남 등 지방끼리 연대해서 세종시 원안을 강력 주장하는 등 대응 수위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서명수기자 이상헌기자 정욱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