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어깨질환 진단과 치료법

규칙적이고 꾸준한 운동요법, 쑤시던 관절이 '말끔'

어깨관절은 움직임이 많은 관절이다. 어깨 주위의 여러 관절이 모여 하나의 관절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어깨질환은 관절운동의 부조화로 발생한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치료와 예방이 가능하다. 최 교수로부터 어깨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 알아봤다.

◆어깨관절 질환=어깨에 잘 발생하는 질환은 크게 3가지이다. 습관성 탈구는 어깨 관절을 과도하게 사용해 관절이 불안정해져서 빠지는 것이다. 야구 등 팔을 많이 쓰는 20대 전후의 젊은 연령층에서 잘 생긴다. 어깨가 굳어 잘 움직이지 않게 되는 오십견은 50대 전후의 여성에게서 잘 생긴다. 또 어깨주위 근육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통증 때문에 팔을 잘 들지 못하는 충돌증후군 및 회전근개 파열이라는 질환이 있다. 이러한 어깨 질환의 공통적인 증상은 어깨가 아프고, 힘이 빠지고, 어깨가 결리고, 운동을 잘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치료법=대부분의 어깨질환은 운동 등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좋아질 수 있다. 환자가 운동방법이나 작업을 변화시키는 등 다시 다치는 것을 피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통증은 항염증 약제와 스테로이드 주사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규칙적이고 꾸준한 운동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한다. 관절경 수술의 발달로 조기에 일상생활과 운동을 할 수 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