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간닥터]역류성 식도질환

과음'과식 피하고 조금씩 자주 먹도록…심하면 궤양 부를수도

연말 잦은 과음과 과식으로 인해 역류성 식도염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액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의 점막을 자극,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속'가슴 쓰림, 신물 올라옴, 가슴통증 등이며, 건조한 기침과 치아 부식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심하면 식도 점막을 손상시켜 궤양과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식도는 위에 비해 위산방어 능력이 훨씬 약해 위산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목구멍이 불붙은 성냥개비로 지지는 것 같은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이처럼 역류가 계속되면 연약한 식도 곳곳이 헐고 염증이 생겨 역류성 식도염이 되는 것이다.

역류성 식도염은 내시경검사를 통해 식별이 가능하지만 육안으로 이상이 없는데도 증상이 나타난다면 24시간 산도검사로 살펴봐야 한다.

역류성 식도염은 일상 식습관의 조절과 약물 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증상이 가벼우면 식습관 개선과 함께 제산제 등 약물치료를 병행하고 증상이 심하면 산억제치료가 필요하다.

모든 음식은 역류현상의 유발인자라고 할 수 있다. 예방과 치료를 위해 과식을 피하고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다.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위주로 먹고 식사시 적당량의 물을 마시고 꼭꼭 씹어 타액과 잘 섞일 수 있도록 하면 음식물이 위장관을 통과하는데 도움이 된다.

박하 등 휘발성 향신성분, 초콜릿, 커피, 콜라는 다른 음식보다 역류를 일으키기 쉬우며 지방의 함량이 높은 음식이 단백질 함량이 높은 음식보다 역류를 일으키기 쉽다. 담배는 직접적으로 역류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역류가 쉽도록 하고, 약물의 치료효과를 감소시키고, 상처 치유를 늦춘다. 금연하거나 흡연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음주도 직접적으로 역류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역류가 쉽도록 한다. 복부비만은 복압을 상승시켜 역류를 유발하므로 체중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꽉 죄는 옷은 복압을 상승시켜 역류를 유발하고 소화불량을 유발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식사 후에는 적어도 2시간 동안 눕지 말고 취침 전 음식물 섭취는 피해야 한다.

식도 역류 질환이 있다면 잘 때 잠자리의 상체 부위를 높여 주는 것이 좋다. 베개를 20cm 이상 높이면 역류증상의 완화와 역류방지에 도움이 된다. 가능하면 오른쪽보다 왼쪽으로 누우면 위의 구조상 소화되기 전 음식물이 하부 식도 괄약근에 자극을 덜 줘 위산의 역류를 막는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도움말'김경옥 영남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