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동강 사업 洑건설로 수위상승 가능성…대책 마련해야"

낙동강 살리기 상생협의회

낙동강 사업에 따른 보(洑) 건설로 수위 상승 가능성이 높은 만큼 피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사업 시행자가 강 준설로 발생한 오니(오염물질을 포함한 진흙)와 자갈을 걸러낸 뒤 흙과 모래를 각 지방자치단체 야적장으로 보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29일 대구경북지역 학계·연구기관·지방자치단체·시민사회단체·언론계·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로 구성된 '낙동강살리기 상생협의회' 첫 자문회의에서 위원들은 "낙동강 보 건설로 물이 넘쳐 인근 농경지 침수 피해가 우려된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또 영주·고령·성주·구미·안동·영천 지역 지자체 담당자들은 "준설토를 야적장에 모아두기 위해선 모래, 흙 등을 제대로 구분해야 하는데 오니와 자갈이 섞여 이를 분리하는 작업에 상당한 예산이 필요하다"며 사업 시행자가 이를 분리한 뒤 준설토 등을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

이날 자문회의에서는 낙동강 사업과 관련 ▷생태습지 보존 ▷환경영향평가 준수 ▷골재 선별 ▷보상 현실화 ▷보 건설로 상승하는 수위 피해 대책 등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낙동강살리기 상생협의회에는 한건연 경북대 교수와 반홍섭 한국수자원공사 경북본부장을 공동 의장으로, 고수현(경북대) 이순화(영남대) 이정호(대구대) 교수, 이재관 낙동강물환경연구소 소장, 대구·경북 낙동강살리기 사업추진단장을 비롯해 학계·시민사회단체·지자체 관계자 등이 참여하고 있다. 협의회는 낙동강 사업 전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책 제시, 자문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