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첨단 신약 개발을 합성-바이오 두부 자르듯 해서야"

글로벌 제약업체 융복합 연구 추세

27일 대구경북과 충북 오송의료단지 특성화가 합성신약·IT기반 첨단의료기기, 바이오신약·BT기반 첨단의료기기로 각각 결정됐다. 지역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의료단지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강점을 최대한 반영한 정부의 대책을 이끌어내야 하고, 재원 규모를 10년 이상 준비한 충북 오송과 차별화해 더 많이 올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앞으로 방향은?

지역 전문가들은 정부가 합성신약과 바이오신약을 나눴지만 이 분야를 두 개로 보지 않는 요즘 제약업계의 특성상 융복합 연구가 가능한 기반 구축 마련에 대구시가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종대 (재)통합의료진흥원 이사장은 "글로벌 제약업체들은 합성과 바이오를 두부 가르듯 하지 않고 두 분야를 합쳐 신약을 개발하는 추세"라며 "게다가 정부가 지역의 강점을 기반으로 특성화 안을 짰다면 바이오 분야에서 전국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과 산업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에도 바이오신약에 대한 연구기반 마련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정부가 특성화 안을 발표하면서 두 분야의 융복합 연구에 대한 길을 열어둔 만큼 시가 전략적으로 이를 잘 활용해 앞으로 세부계획 확정에는 지역 구상 안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정부도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충청 반발을 잠재우기 위해 오송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읽히는데 지역을 위해서는 예산 차등 배분 등의 혜택을 골고루 나눠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단지 전체 추진 속도와 의지에 대해서도 정부를 압박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장은 "국가 신성장동력인 의료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역의 강점을 반영해 특성화한 의료단지 조성이 필요하고, 조기에 성과 창출이 필요한 만큼 정부의 조속하고 강력한 개발 의지가 필요하다"며 "따라서 시는 오송이 특성화한 바이오분야의 산업 기반을 지역에서도 어떻게 조기에 띄울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바이오분야 기업 및 연구기관 유치 등 대책을 마련하는데 시정을 집중,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구시 입장은?

시는 충북 오송과 복수 지정된 상황에서 최악의 분리 지정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2008년 현재 시장 규모로 따졌을 때 합성신약이 전체 84%로 바이오신약(14%)보다 월등히 많은데다 국가적으로 역량이 축적돼 있어 조기 성과 창출이 가능한 합성신약과 IT기반 첨단의료기기 중심의 특성화가 이뤄질 경우 잃을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상길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단장은 "대구경북의료단지가 모든 분야를 다 갖고 오는 것이 좋겠지만 다 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것도 아닌 만큼 정부의 특성화 안에 일정 부분 만족한다"며 "최근 융복합 추세를 감안해 지역의 강점인 재생의학과 바이오인포매틱스 등 바이오 분야와의 융복합 연구가 가능하도록 하겠다. 올 하반기에 결정될 정부의 종합계획 수립에 이런 방안이 반영될 수 있게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는 의료단지 조성계획 수립, 투자규모 확대 등에 대한 결정이 미뤄진 것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시했다. 시 관계자는 "선정 6개월이 지났지만 아직도 세부 계획이 결정되지 않은 것은 10년 준비한 오송에 비해 지역은 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며 "향후 정부와의 협의 과정에서 지역이 요구하는 융복합 연구기반 구축, 선진 의료클러스터와의 경쟁을 위한 정부예산 대폭 증액 등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등 대구경북의료단지가 조기에 본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의약품·의료기기 특성화 개념(자료:보건복지가족부)

◆신약

- 합성신약 : 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유효물질을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한 의약품.

- 바이오신약 : 생물에서 유래된 유효물질을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해 개발한 의약품.

- 합성신약 : 감기약, 두통약, 글리벡, 타미플루 등

- 바이오신약 : 인슐린, 항체치료제, 세포치료제 등

◆의료기기

- IT기반 의료기기 : 진단, 재활, 치료를 위해 전자공학과 정보통신 등 IT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된 의료기기.

- BT기반 의료기기 : 생물공학, 화학, 재료공학 등 기술을 기반으로 분자진단기술, 생체적합 합성재료 가공기술 등 다양한 연관기술을 활용해 제작된 의료기기

IT기반 의료기기 : 3차원 초음파 영상진단기기, 의료서비스 로봇 등

BT기반 의료기기 : 바이오센서, 초고속 분자진단 시스템 등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