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떡을 만든 지는 40년 됐어요. 10년 전부터는 인절미도 만들고 있어요. 맛있다고 많이들 찾으니 고마울 뿐이지요."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서 40년 동안 순흥 기지떡을 만들고 있는 박화복(75) 할머니. 박 할머니는 전국적으로 알려지면서 산업화에 성공한 '순흥 기지떡'을 대표하는 인물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순흥 기지떡집의 상호도 2008년부터 '박화복 떡마을'로 바꿨다. 20년 전 도회지 생활을 청산하고 떡집 운영을 맡고 있는 작은아들 김주한씨의 발상이었다. 40년 동안 기지떡 하나로 고생한 엄마에게 영원히 남을 선물(?)로 상호에다 이름을 사용한 것.
박 할머니는 "처음 이곳은 그야말로 시골 방앗간이었다. 집에서 쌀을 불려 건져서 가져올 때 마당에서 맨드라미 꽃과 잎을 따서 고명으로 올려 쪘다. 그때는 집집마다 기지떡에 사용하려고 맨드라미를 마당에다 키우던 시절이었다"고 회상했다.
처음 시작은 남편 퇴직 후 살림에 보탤 소일거리 정도였다. 하지만 기지떡 맛을 내는 데 40년 세월을 한결같이 쏟아붓다 보니 이제는 전국 최고의 '기지떡 할매'로 불리게 됐다며 쑥스러워했다.
50대 이상이라면 누구라도 어릴 적 어머니가 쪄 주시던 기지떡에 대한 향수를 한 조각씩 갖고 있다. 안동·영주 등 경북북부지역에서는 잔치나 행사 등에 기지떡이 단골 음식으로 사용돼 왔다. 박 할머니가 40년 동안 기지떡을 고집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박 할머니는 "요즘 아이들은 수입 밀가루로 만든 빵에 입맛이 길들여져 있는데 우리쌀로 만든 전통떡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학교 급식에 기지떡이 올라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소망을 밝혔다.
엄재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