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에서 사극의 열풍은 숙지지 않는다. 만만치 않은 제작비에도 TV 화면에서 사극은 빠지지 않는다. 사극의 제작이 늘어나면서 소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서민들의 삶과 애환도 주요 줄거리가 된다. 그러나 여전히 왕과 왕비를 중심으로 한 궁중 권력의 다툼과 갈등은 매력적인 줄거리다. 왕과 왕이 사는 구중궁궐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일반인의 호기심을 부른다. 쉽게 다가갈 수 없는 곳에서 오고 가는 은밀한 이야기를 접함은 그 자체로 매력적이다.
사극의 왕은 양면성을 보인다. 절대권력자의 냉혹함과 눈물을 흘리는 인간적 모습이 함께 그려진다. 권력다툼이 거셀수록 왕의 인간적 고뇌도 깊게 드러난다. 양면성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각각 다른 시각을 낳는다. 수양과 단종의 관계를 놓고 세조 등극의 역사적 당위성을 주장하는 이도 있고 불법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는 사람도 있다. 왕의 고뇌와 갈등은 그래서 사극을 바라보는 이들에게 권력의 허망함을 일깨워 주기도 한다.
인기와 무관하게 사극은 역사 왜곡이라는 시비도 끊이지 않는다. 역사적 자료가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역사를 기술한 사람들이 대부분 시대의 승자였다는 점도 왜곡 시비에 한몫을 한다. 국내외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드라마 대장금의 주인공 장금은 중종실록에 이름이 몇 번 등장하고 그것도 왕의 신임을 받았다는 기록이 전해질 뿐이다. 작가의 상상력이 시대의 인물을 만들어 낸 것이다. 드라마가 어차피 허구를 기본으로 하지만 역사적 사료의 부족과 작가의 상상력은 자칫 나라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어린 자녀들의 역사 인식을 오도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몇 년 전에는 근대의 정치적 현장들을 그린 드라마도 나왔다. 전직 대통령의 시대를 소재로 한 드라마는 실존 인물이 살아 있는 상황에서 당사자와 명예훼손 시비에 휘말리기도 했다. 역사를 어떻게 보느냐는 시각과 역사적 사실 관계는 같지 않은 때문이다.
최근 확산되는 영포목우회 파문도 잘하면 후대의 드라마 소재 거리가 될 조짐이 엿보인다. 친이 친박이니, 누구 라인이니 갈라져 벌이는 권력다툼은 사극에서 그려지는 권력암투와 크게 다르지 않다. 게다가 양측의 말은 과연 누구 말이 옳은지 헷갈리게 한다. 권력의 다툼은 진실을 알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권력의 결말은 허망함인 줄 왜 모를까.
서영관 논설실장 seo123@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