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테크노폴리스? 한국 車부품 폴리스!

"현대 계열 IHL과 MOU 지능형차량 시험장 유치"

대구경북 경제 전문가들은 대기업 1호 유치를 계기로 테크노폴리스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대구시의 조기 지원을 주문하고 있다.
대구경북 경제 전문가들은 대기업 1호 유치를 계기로 테크노폴리스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대구시의 조기 지원을 주문하고 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내 테크노폴리스(달성군 현풍면 7.3㎢)가 비상(飛上)하고 있다. 잇단 기업 유치와 연구개발(R&D) 기관 입주에 따라 테크노폴리스의 네임 파워가 수직 상승하고 있기 때문. 특히 이달 11일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과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IHL㈜의 테크노폴리스 공장 및 연구소 투자협약(MOU) 체결에 따라 첨단 자동차부품 핵심 기지 역할을 톡톡히 해낼 전망이다.

지역 경제계는 지난해 말 정부 실사에서도 테크노폴리스가 모범지구로 평가된 만큼 이곳 기업 유치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대구시 조기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첨단 자동차부품 기지 비상…시너지 효과 기대

테크노폴리스는 '첨단 자동차부품 산'학'연 클러스터'의 최적지로 꼽힌다. 이곳 연구용지(138만9천㎡)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및 계명대 지능형자동차 대학원이 입주를 확정한데다 승용차로 5분 거리의 달성군 구지면에 지능형자동차부품 주행시험장(37만6천800㎡)까지 들어서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착공, 2013년 2월 준공 예정의 주행시험장은 미래형 자동차 연구개발(R&D)의 기초 인프라로, 지역 자동차 부품산업을 미래형으로 구조 전환할 수 있는 기반시설이다.

이와 함께 대구 1호 대기업 IHL㈜까지 다음 달 제조공장 착공에 이어 2013년 준공 목표의 연구소를 건립하겠다고 밝혀 테크노폴리스 부지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IHL 연구소의 최대 목표는 전기차, 지능형차, 연료전지차 등 미래형 자동차부품 개발. 대기업의 첨단 자동차부품 개발 기지가 테크노폴리스에 입주한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를 가진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신경섭 투자유치본부장은 "대기업 유치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및 계명대의 고급인력 확보와 성서공단, 달성2차, 테크노폴리스 자동차 단지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했다"며 "우리나라 최초의 지능형 주행시험장 인프라와 연계해 명실상부한 자동차부품 허브 지역으로 발돋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또 '현대차'의 브랜드 파워가 자동차부품뿐 아니라 지식제조업 및 서비스 기업 유치 목표 달성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인철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은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의 테크노폴리스 입주로 이곳 후속 기업 유치의 물꼬를 틀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앞서 박 청장은 수차례에 걸쳐 미국, 유럽 지역 주한상공회의소를 대상으로 투자 유치 활동을 벌여 왔다. 대구경북 투자 매력도를 설명하고 대구시 및 경북도의 정책 육성 의지를 알려 왔다.

박 청장은 "기업 유치라는 게 시기를 못 박기 참 어렵다"면서도 "조만간 반가운 소식이 또 들릴 것이다. 이번엔 해외 타깃 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은 과제

대구경북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대기업 유치가 테크노폴리스의 경쟁력을 새삼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한다. 테크노폴리스는 연구'산업'주거 시설이 함께 들어서는 미래형 '복합단지'. 현재 조성 중이거나 조성한 전국 120여 단지와 비교해 말 그대로 순항하고 있다. 테크노폴리스 연구용지에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델라웨어대 공과대학 에너지환경정책대학원 등 9개 국책연구소 및 이공계 대학이 들어서 있으며, 산업용지(152만1천㎡) 경우 24개 기업에 38만7천㎡를 공급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경제자유구역 축소 당시 애초 해제를 검토했던 지식경제부는 테크노폴리스를 모범지구로 재평가했다.

테크노폴리스의 남은 과제는 '교통 인프라 및 기반 시설' 조기 공사. 대구시가 테크노폴리스~대구 도심 구간 고속 진입도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속도가 더디다. 테크노폴리스에 가장 먼저 입주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신성철 원장은 "대구시에 교통 접근성 지원을 가장 먼저 요청했다"며 "테크노폴리스 경쟁력의 가장 큰 취약점은 접근성"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부 지원 역시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테크노폴리스 시행사(한국토지주택공사'LH) 자금난으로 이곳 예산 확보가 난관에 봉착하고 있기 때문. 정부 실사 결과 테크노폴리스의 경쟁력이 검증된 이상 보다 과감한 지원으로 기업 유치 활성화에 힘을 실어야 한다는 목소리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