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변신의 기술, 돋보이는 그녀] 맥시드레스, 맥시스커트 열풍

작용'반작용의 법칙일까? 올여름 패션은 양극단을 달린다. 아슬아슬하게 허벅지를 드러내는 핫팬츠와 미니스커트 등의 '하의 실종 패션'이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반면 발목을 다 덮을 정도로 치렁치렁한 길이의 '맥시드레스'가 최고의 핫 아이템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 하의 실종 패션이 '드러냄'의 미학이라면, 맥시드레스는 '감춤'의 미학이다.

◆맥시드레스란?

맥시드레스는 남국의 휴양지를 연상시키는 알록달록한 프린트에 발목까지 내려오는 긴 길이에 풍성한 치맛자락의 의상을 말한다. 맥시멈 스커트의 약어로 흔히 '롱스커트'라 불렸다.

워낙 편안한 느낌이 강조되는 의상이다 보니 바캉스에서나 입을까 일상생활에서는 입기 힘든 옷이었지만 올여름은 당당히 '패션 아이콘'으로 등장했다.

맥시드레스는 원피스 형태와 스커트 두 종류가 있다. 자유로운 느낌이 강조되는 원피스는 꽃무늬나 트로피컬 프린트 등 화려한 패턴에 저지나 시퐁과 같이 바람에 날릴 정도로 시원한 소재가 대다수를 이룬다. 특히 어깨 부분이 끈으로 처리되거나 홀터넥 등으로 돼 있어 어깨를 다 드러내는 디자인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바캉스 의상으로 제격이다. 구김이 가지 않으니 간편하게 트렁크에 쑤셔 넣을 수 있고, 치마 길이가 길어 활동하는 데도 불편함이 작기 때문이다.

대신 이를 일상생활에서 연출할 경우 너무 '격의 없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의 '스타일링'을 해주는 센스가 필요하다. 대백프라자점 st.a 매장 박지연 매니저는 "재킷이나 셔츠를 덧입어 레이어드 스타일을 시도해 너무 드러난 상의를 살포시 감춰주고, 너무 화려한 프린트보다는 스트라이프나 무채색 등의 단정한 스타일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맥시스커트는 다리라인이 살짝 드러나면서 여성스러움을 극대화할 수 있는 아이템이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롱스커트를 활용할 경우에는 원피스형보다는 스커트가 분위기 연출에 훨씬 유용하다. 하지만 잘못 스타일링하면 자칫 월남치마(1970년대 아줌마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일자형 통치마)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일상에서도 맥시스커트를 자연스럽게 입고 싶다면 허리부터 가늘고 길게 떨어지는 일자형 디자인에, 화려한 프린트나 무늬보다는 단색 컬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스타일링 포인트는?

휴양지에서 입을 맥시드레스라면 특별한 연출이 필요 없다. 화려한 패턴의 맥시드레스에 과감한 액세서리 하나만 강조해주면 된다. 나무 소재의 팔찌나 골드 컬러의 목걸이, 두꺼운 뱅글 팔찌, 여성스러운 밀짚모자 등이 필수다. 박 매니저는 "액세서리는 형태가 큰 목걸이나 팔찌를 믹스 매치해 단순하면서도 스타일에 포인트를 주는 것이 좋다"고 했다.

원피스의 패턴은 체형에 따라 골라 입는 게 좋다. 마른 체형이라면 패턴이 큰 원피스를, 체격이 있는 편이라면 패턴이 작은 것이 좋다. 수영복을 입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그 위에 맥시스커트만 걸쳐도 훨씬 매력적이다. 어깨가 드러나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그 위에 비치는 얇은 카디건을 덧입거나, 얇은 티셔츠를 걸쳐 입는 것도 방법이다.

맥시드레스는 자칫 키가 작은 사람이 입을 경우에는 더욱 키가 몽땅해 보이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연출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키가 작거나 통통한 체형이라면 어깨와 가슴 위를 완전히 노출하는 튜브 스타일의 맥시드레스로 늘씬해 보이는 효과를 내는 게 좋으며, 홀터넥을 통해 어깨선을 강조해 목이 길어 보이도록 하는 것도 괜찮다.

긴 치마에는 5, 6㎝가량의 어중간한 높이의 신발은 금물이다. 실루엣이 살지 않기 때문이다. 박 매니저는 "아예 굽이 없는 샌들이나 10㎝ 안팎의 높은 굽이 어울린다"고 했다. 발목을 묶는 느낌의 샌들이나 요즘 유행하는 웨지힐, 글래디에이터 슈즈가 잘 어울린다. 옷 자체가 드레시하므로 신발은 중성적이면서 단순한 디자인을 매치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이다. 가방 역시 어중간한 크기보다는 빅백이나 손에 드는 작은 클러치가 어울린다.

맥시스커트를 입을 때는 긴 치마의 볼륨감으로 인해 자칫 뚱뚱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상의는 짧고 딱 붙는 스타일이 좋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