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정전사태에 대한 책임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실제 예비전력이 24만㎾까지 추락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예비전력률이 0.3%까지 떨어져 전국적 정전사태인 블랙아웃 직전까지 갔었지만 관계 기관들은 책임 떠넘기기에 바쁜 모습이다.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18일 기자회견에서 "정전사태 발생 당시 전력 예비율이 정확히 계상되지 못해 실제예비력에 편차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사실상 허위보고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력거래소가 당시 공급능력을 7천71만㎾로 판단했으나 실제 공급능력은 6천752만㎾로서 약 319만㎾ 차이가 나, 순환 정전 조치를 내리기 직전인 오후 3시 당시 실제 예비력이 24만㎾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발전기가 처음 예열 상태를 거쳐 발전 상태로 가려면 5시간 동안 예열해야 하는데 예열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전용량 202만㎾를 공급능력에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전력위기 대응 매뉴얼에 따르면 예비전력이 100만에서 200만㎾인 경계 단계에서는 직접부하제어를 실시하고 전압을 5.0%까지로 낮출 수 있으며, 0에서 100만㎾의 심각 단계에서는 순환정전 같은 긴급 부하조정이 시행될 수 있다.
정전 당시 예비전력이 100만㎾를 넘은 상황에서 순환정전 조치를 시행해 과잉 대응이었다는 논란이 일었지만, 예비전력이 24만㎾였다면 오히려 대응이 늦었던 셈. 조금만 조치가 늦어졌다면 예비전력이 바닥나 전국이 암흑에 빠지는 '블랙아웃' 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었다.
보고 시점을 놓고 '늑장보고다' '아니다'를 놓고 말이 달랐던 최 장관과 전력거래소는 허위보고에 대해서도 의견이 달랐다. 지경부는 "전력거래소가 정전 당일 사용하기 곤란한 전력 공급량을 사용 가능한 예비전력량에 포함시켜 허위보고해 관계기관 간 긴급 공조 차질을 초래했다"며 전력거래소에 책임을 돌렸다.
하지만 전력거래소 측은 이에 대해 "중앙급전소 화면상에 시스템적으로 계산된 총량을 보고했는데 허위보고라는 건 말이 안 된다"면서 "허수가 포함됐던 건 맞기 때문에 실제 가용 예비력을 계산해본 결과 굉장히 심각하다고 판단해서 순환정전을 실시하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절기 비상대책 기간 연장에 관해서도 관계 기관 간의 공조가 이뤄지지 않았다. 최 장관은 이날 "지경부는 8월 31일자로 여름철 전력수급대책본부 운영을 9월 23일까지 3주간 연장한다는 공문을 한국전력과 발전 자회사에 보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래 계획대로 발전소 정비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한전과 발전 자회사들이 공문을 받고서도 예방정비를 위해 발전기 가동을 멈추는 바람에 공급능력이 현저히 떨어졌다는 얘기다.
하지만 한전 관계자는 "공문 어디에도 예방정비 일정을 늦추라는 얘기는 없다"면서 "모두가 비상상황실 가동을 연장하고 고장방지에 힘쓰라는 것으로 이해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발전회사 관계자도 "예방정비 일정 조정은 전력거래소의 승인이 필요한데 이를 염두에 뒀다면 거래소 측에 한 번쯤 확인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이제 와서 모든 책임을 발전회사들에 떠넘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