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특목고 아니면 일반고? 이분법적 사고 벗어나라

현행 교육제도하에서 고교 선택은 대학 진학과 직결돼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떤 고교에 가느냐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대학'학과의 범위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도입된 2009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최대한 일찍 결정한 뒤 그에 맞춰 교과 수업과 동아리 활동, 각종 체험활동 등을 진행하도록 구성돼 있다. 대학입시에서 입학사정관제를 비롯해 고교 과정에서 쌓은 실적물 등 서류 비중이 강화되는 추세도 간과해선 안 된다. 고교 입학 때부터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에 적합한 교과 기록물이나 성과물, 활동자료 등을 갖추어 나가면 자신의 평균 교과 성적보다 더 높은 대학에 진학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학교 때 자신의 진로를 어느 정도 설정한 뒤 거기에 조금이라도 더 적합한 고교를 찾아 진학하는 게 고교 생활과 대학 진학에 유리하다.

고교 선택의 첫 번째 기준은 학생 성향이다. 크게 봐서 인문계열 쪽인지, 자연계열 쪽인지를 파악하는 데서 출발한다. 예전에는 고교에 진학해서 계열을 결정했지만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때 자신의 계열별 성향을 파악해 고교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과학고나 외국어고 진학 여부를 결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율고나 중점학교 선택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준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수학'과학에 흥미가 높은 학생이라면 전기 입시에서 과학고에 지원해 불합격했다고 해도 후기 입시에서 과학중점학교로 지정된 고교에 진학하면 수업의 절반 가까이가 수학'과학으로 편성되므로 과학 인재의 꿈을 키울 수 있다.

또 다른 선택 기준은 각 고교의 교육과정이다. 특목고나 자율형 공'사립고, 기숙형 고교, 중점학교 등은 이름만큼 다양한 형태로 교육과정이 운영된다. 이들 고교는 필수 이수 과목이 일반계고에 비해 적어 나머지 수업을 자율적으로 편성할 뿐만 아니라 학생의 학습능력에 따라 무학년제, 계절학기제, 대학 수준의 과목을 학습한 뒤 대학에서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학점 이수제 등 수요에 맞는 교육을 진행한다. 학생, 학부모 입장에서는 각 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는 일이 상당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학교 홈페이지, 홍보자료, 문의 등을 통해 정보를 얻는 노력이 필수다.

대입제도의 변화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대학들이 고교에서 어떻게 성장한 인재를 선호하는지에 대해 파악하면 그에 맞춰 준비할 수 있는 고교를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세대는 외고 출신 학생들에게 유리한 전형인 글로벌리더 전형을 폐지하기로 했다. 자율고가 늘어나면서 교육과정의 다양성이 특목고만의 전유물이 아니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특목고 아니면 일반계고라는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어떤 형태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고교에 진학하는 게 유리한지 따져봐야 한다.

김기영 참교육전략연구소 연구실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